▶ 재정보증 스폰서 적용
▶ 이민국, 3월부터 상향
▶ 최저생계비 125% 이상
가족 초청 영주권이나 이민 비자 수혜자를 재정보증하는 스폰서의 최저 연간 소득이 상향 조정됐다.
최근 연방 이민서비스국(USCIS)은 보건복지부(HHS)의 빈곤 가이드라인(Poverty Guideline) 업데이트에 따라 스폰서의 최소 소득 한도를 3월부터 인상했다고 발표했다. 이에 따라 알래스카와 하와이를 제외한 48개 주 거주자의 경우 재정보증 스폰서의 연간 소득이 최소 2만5,550달러에서 2만6,437달러로 인상됐다.
재정보증은 스폰서가 가족을 미국으로 초청할 때 수혜자가 10년간 일정한 공적부조(public charge)를 받지 않고 살 수 있는 재정 능력을 보여주는 것으로, 만일 수혜자가 일정한 정부혜택을 보게 된다면 스폰서가 책임지는 제도다. 재정보증인이 되기 위해서는 18세 이상 미국 시민권자나 영주권자로 미국에 주소를 두고 있어야 한다. 또한 빈곤 가이드라인에 의해 최저 생계비의 125%를 초과하는 수입을 가져야 한다. 스폰서의 최저 소득은 가족을 몇명 초청하느냐에 따라 다른데, 한 사람이 추가될 때마다 6,875달러씩 증가한다. (표 참조)
예를 들면, 초청자가 배우자와 두 자녀를 두고 있으면서 부모를 가족 초청한 상태라면 6인 가족으로 간주돼 2025년 최저수입 지침에 의해 5만3,937달러 이상의 소득을 증명해야 한다. 가족 초청 이민 비자 또는 영주권을 후원할 때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I-864(부양 증명서) 작성시 스폰서의 1년치 세금보고서, 급여명세서, 신분 서류 등이 필요하다.
알래스카와 하와이 거주자의 경우 생활비가 높아 더 높은 소득 기준이 적용된다. 알래스카는 48개 주와 비교했을 때 가장 높은 요구 조건을 가지고 있으며, 그 다음은 하와이다.
배우자나 자녀를 초청하는 현역 미군의 경우 빈곤 가이드라인의 125% 대신 100%가 적용된다. 스폰서의 이러한 재정적 책임은 영주권 수혜자가 시민권자가 되거나, 10년간 소셜 시큐리티 세금을 납부하거나, 한국으로 돌아가 영주권을 포기하거나, 사망한 경우에 종료된다.
반면 고용 기반 비자, 추첨 비자(DV), K-1 약혼자 비자와 같은 유형의 경우 후원자는 I-134(재정지원 선언)를 작성하게 되는데, 빈곤 가이드라인의 100%만 충족하면 된다. 또한, I-864를 사용하는 스폰서와는 달리 수혜자가 이용한 정부 혜택을 상환할 법적 의무가 없다.
출처 : 미주한국일보
|
||||||||||
Title | View |
취업 전에 안보면 무조건 후회하는 영상
|
09/03/2024 |
Part-time 게시판 공지사항
|
02/12/2021 |
미국 국민 10명 중 7명 “의료보장 서비스 최악 수준”
Talk & Talk
|
1356 |
트럼프 “연준의장 해고계획 없다”
Talk & Talk
|
2267 |
증시 호황에 401(k) 연금 백만장자 많아졌다
Current Economy
|
2223 |
노트르담 대성당 마침내 ‘재개관’
Travel & Food
|
2117 |
11월 민간고용 15만명 증가
Job & Work Life
|
3234 |
USC \"외국인 유학생들, 1월 20일 전에 미국으로 돌아와\"
College Life
|
1975 |
오바마 \"민주주의는 어려운 일… 한국을 보라\"
Talk & Talk
|
2042 |
“트럼프, 제3국으로 이민자 추방 타진”…주변국 “단호 거부”
Talk & Talk
|
2079 |
미국판 다이소 너마저?…트럼프 관세 폭탄에 ‘비상’
Talk & Talk
|
1803 |
신규 실업수당 청구 22만4천건…예상치 상회
Job & Work Life
|
3083 |
원달러·환율… 종가기준 2년래 최고
Current Economy
|
1536 |
‘경기 낙관론’… 다우 지수 45,000 첫 돌파
Current Economy
|
1794 |
트럼프 ‘폭탄 관세’ 중국 제품 ‘사재기’
Current Economy
|
1429 |
“모기지 내기도 버거운데”… 관리비까지 지속 상승
Current Economy
|
1593 |
美 기업들 수요 전망 낙관론↑…일부에선 트럼프 관세 우려
Current Economy
|
1314 |
트럼프 ‘불법 이민자 추방’에… “블루칼라 노동시장 지각변동”
Job & Work Life
|
3013 |
ADP “11월 민간고용 14만6천명↑”…전망치 밑돌아
Job & Work Life
|
2312 |
복수국적 연령 하향… 한국민 여론이 ‘복병’
Talk & Talk
|
1437 |
미, 중국 AI 개발 ‘틀어 막는다’
Talk & Talk
|
946 |
아시아나, 오는 11일 대한항공 자회사로 편입
Talk & Talk
|
1825 |
‘계엄령 쇼크’… 환율 급등·금융시장 ‘패닉’
Current Economy
|
1607 |
AI 파도서 좌초… 인텔의 \'구원투수\'도 짐 쌌다
Talk & Talk
|
1428 |
코스코, 내년부터 도서 판매 중단
Talk & Talk
|
1735 |
연말 샤핑시즌‘ 역대 최대’ 규모 지갑 연 소비자들
Current Economy
|
1953 |
‘전기차 겨울’ 어디까지… 수요 감소·매출 급감
Current Economy
|
2188 |
“트럼프 관세폭탄 터지기 전에 지금 구매하세요”
Talk & Talk
|
2023 |
연소득 20만불 이하는 ‘학비 무료’
College Life
|
2222 |
“재외동포 각종 증명서, 공항서 편리하게”
U.S. Life & Tips
|
1793 |
이민서류 적체 심화… 속타는 영주권 신청자들
Visa,Green Card,Citizenship
|
2403 |
불체 한인수 최대 20만 추정
Talk & Talk
|
2229 |
인천공항, 세계 3위… 연 수용여객 ‘1억명 시대’ 활짝
Travel & Food
|
1930 |
올해 ‘블랙 프라이데이’… 소비자들 지갑 열었다
Talk & Talk
|
2796 |
“주식거래 하루 23시간 가능”
Current Economy
|
1976 |
‘선구매 후결제’ 역대 최대… 소비자에 ‘양날의 검’
Talk & Talk
|
2322 |
美10월 개인소비물가, 파월 예상대로 전년대비 2.3%↑
Current Economy
|
76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