핸드폰, SNS까지 뒤진다…美입국금지 급증에 여행객 불안감 커져
By kkzxxxx Posted: 2025-03-21 10:43:10

▶ ‘돌연 구금’ 외국인 증언 잇따라… “수갑 채우고 통역도 제공 안해”

▶ “구금될수도”…각국 정부, 미국 여행자에 ‘경고’ 안내문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불법 이민자 척결 기조에 따라 미국 입국심사가 크게 강화하면서 미국에 가려는 여행객들의 불안감도 고조되고 있다.

특히 미국 이민 당국이 입국 신청자의 휴대전화와 소셜미디어(SNS) 계정을 뒤지고, 이들을 구금·추방하는 사례도 늘면서 해외 각국 정부들은 자국민 보호를 위한 조치를 강화하고 있다.

20일 일간 월스트리트저널(WSJ), 뉴욕타임스(NYT) 등 외신에 따르면 미국에 들어가려는 이민자와 관광객은 입국장에서 크게 강화한 심사를 받고 있다.


입국심사 요원들은 공격적인 질문을 던지며 이들의 비자를 더 깐깐하게 살피고 있고, 심사 과정에서 구금이 결정되는 사례도 크게 늘어난 것으로 전해졌다.

이런 분위기 속에서 부당한 처우를 받았다는 외국인들의 증언도 잇따르고 있다.

캐나다인 배우 재스민 무니는 미국에 입국하려다 돌연 구금돼 열흘 넘게 이민자 수용소에 머물러야 했다. 그는 통상 캐나다인에게 허용되는 절차대로 입국장에서 새로운 취업 비자를 신청하려고 했는데, 그 과정에서 입국이 거부됐다는 것이다.

그는 두 곳의 수용소로 옮겨지면서도 구금 이유에 대한 어떤 설명도 듣지 못했다고 한다. 그 뒤 그의 소식이 언론에 보도되고 변호사 선임이 허용된 끝에 12일 만에 풀려났다.

무니는 "나는 캐나다 여권에 변호사, 언론의 관심, 친구, 가족, 심지어 나를 옹호하는 정치인까지 있었다"며 "나보다 불리한 여건을 가진 사람들에게 이 (미국 입국) 제도가 어떻게 작용할지 상상해보라"면서 분통을 터뜨렸다.

독일인 배관공인 루카스 실라프도 미국 시민권자인 약혼녀와 함께 멕시코에서 미국으로 가려던 중 국경 검문소에서 붙잡혔다.

이민국 직원들은 그가 관광이 아니라 거주 목적으로 미국에 가는 것이라고 지적하며 그를 미국 샌디에이고의 수용소로 보냈다. 이 과정에서 직원들은 그에게 수갑을 채워 벤치에 묶어두고, 통역 및 변호사 조력도 허락하지 않았다고 한다.


그는 16일간 구금된 끝에 독일로 돌아갈 수 있었다.

실라프는 "그들은 무고한 사람들을 감옥에 갇히게 했다"며 "모든 것이 얼마나 빨리 바뀌었는지를 보고 충격을 받았다"고 말했다.

입국 심사 과정에서 휴대전화나 노트북 등 개인 전자기기를 열어보는 일도 빈번한 것으로 전해졌다. 입국 신청자들은 소셜미디어 계정을 제출하라는 요구도 받는다고 한다.

실제 한 프랑스 과학자는 최근 휴대전화에 트럼프 대통령을 비판하는 내용이 있다는 이유로 미국 입국을 거부당했다.

휴대전화에 레바논 무장정파 헤즈볼라의 수장이던 고(故) 하산 나스랄라의 사진을 갖고 있던 레바논 국적의 미국 브라운대 교수가 공항에서 추방되는 사건도 있었다.

일각에서는 이같은 전자기기 수색이 여행자의 권리 침해 아니냐는 지적이 제기되지만, 미국 행정부는 적법한 권한에 따른 직무 수행이라는 입장이다.

미 국토교통부 산하 관세국경보호청(CBP)은 테러 및 범죄 활동을 식별하고 대처하기 위해 전자기기 수색이 필요하다며 "국경을 통과하는 전자기기를 합법적으로 검사하는 권한은 디지털화가 가속하는 세계에서 미국의 안전을 지키는 데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삼엄해진 미국의 입국심사에 각국 정부들은 자국 여행자들에 각별한 주의를 당부하고 있다.

영국 외무부는 홈페이지에 "미국 당국은 입국에 관한 규칙을 엄격하게 정하고 시행한다. 당신이 규칙을 어길시 체포되거나 구금될 가능성이 있다"는 내용의 안내문을 게시했다.

앞서 2월 초에 올라와 있던 안내문에는 "미국 당국이 입국 규정을 정하고 시행한다"는 내용만 있었다.

독일도 비자나 입국 면제를 받았다고 해서 미국 입국이 보장되는 것이 아니란 점을 강조하는 내용으로 미국 여행에 관한 권고 메시지를 보완했다.

미국 이민 변호사인 엘리사 타우브는 미국 주간지 뉴스위크와의 인터뷰에서 "고객들에게 휴대전화나 노트북을 반입할 때 실수로 논란의 여지가 있는 사진을 저장하지 않도록 당부한다"고 말했다.

또 다른 미국 변호사 캐슬린 캠벨 워커는 WSJ과의 인터뷰에서 강화한 심사 탓에 고객들이 입국이 승인될지 파악하는 것이 "매우 어려운 수수께끼"가 됐다며 혼란스러운 분위기를 전했다.

 

 

 

출처 : 미주한국일보

Title View
[공지] 취업 전에 안보면 무조건 후회하는 영상
09/03/2024
[공지] Part-time 게시판 공지사항
02/12/2021
올해 한·미 항공승객 213만명 ‘역대 최다’
Travel & Food
2417
애플 상대 집단 소송…여성 직원 급여 차별
Job & Work Life
2942
계층 소비격차…엇갈리는 경제지표
Current Economy
2223
“뉴욕증시 하반기도 강세”… 투자자 수익창출 ‘기회’
Current Economy
2506
기아 미국법인, 1억불짜리 소송 당했다
Talk & Talk
1491
코웨이 본사, 국제인권단체 문제 제기에 답변 안해
Job & Work Life
1555
‘좀도둑도 중범으로’… 처벌강화
Talk & Talk
2148
지난해 신규 백만장자 60만명 탄생
Talk & Talk
2792
“가격·성능 같아도 개스차 더 좋아”
Talk & Talk
2423
5월 도매물가 ‘깜짝 하락’ 인플레 상승 압력 둔화
Current Economy
2693
애플 브랜드가치 1조달러…3년 연속 1위
Talk & Talk
1469
실업수당 청구, 10개월 만에 최고
Job & Work Life
2467
5월 영세기업 경기 낙관…‘연중 최고’
Current Economy
2112
파나마운하 10월 정상화…물류 병목현상 완화 기대
Current Economy
2048
‘돌다리도 두드리자’… 실수 반복 않으려 신중 모드
Current Economy
2266
‘세계경제 엔진’… 성장률 선진국 1위
Current Economy
2517
FDA 자문위, 일라이릴리 알츠하이머 치료제로 지지
Talk & Talk
2479
정크 수수료 철퇴‥ 디파짓 렌트비 한 달치로 제한
Talk & Talk
2898
“인 앤 아웃 마저도”…가격 인상
Travel & Food
2861
“한국 포화”…가구·리빙기업 미 시장 ‘진격’
Talk & Talk
2550
카드번호 입력없이 결제…토큰화 방식 전세계 확산
Talk & Talk
2675
5월 소비자 물가 상승률 3.3%로 둔화
Current Economy
2632
“금리인하 올해 한 번”… 첫 인하 9월 이후 ‘무게’
Current Economy
2263
실업률 증가에… 5월 채용 ‘27만명’ vs ‘6만명’
Job & Work Life
2742
“세계한인비즈니스대회 신청하세요”
Talk & Talk
2117
“신라면 파는 H마트, 틈새사업서 이젠 문화현상으로”
Talk & Talk
2792
미국인들 “고물가 장기화될 것”
Current Economy
2170
또 물류대란?… 동부항만 노조도 파업하나
Job & Work Life
2791
주택 유지비용 ‘천정부지’… 가주서 팬데믹 후 32%↑
Talk & Talk
2738
애플, 17년 고집 버렸다… 아이폰 \'통화 녹음\' 공식 도입
Talk & Talk
2939
불체 신분 시민권자 배우자 ‘구제’
Talk & Talk
2803
패션부터 통신·보험까지… AI 자동화 시대 성큼
Talk & Talk
2471
“물가상승 너무 싫어!”… 정신적 스트레스!
Current Economy
1946
주택·주식시장 상승…투자소득 역대 최대
Current Economy
1944
원/달러 환율 10.7원↑ 달러 강세에 1,376원
Current Economy
23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