핸드폰, SNS까지 뒤진다…美입국금지 급증에 여행객 불안감 커져
By kkzxxxx Posted: 2025-03-21 10:43:10

▶ ‘돌연 구금’ 외국인 증언 잇따라… “수갑 채우고 통역도 제공 안해”

▶ “구금될수도”…각국 정부, 미국 여행자에 ‘경고’ 안내문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불법 이민자 척결 기조에 따라 미국 입국심사가 크게 강화하면서 미국에 가려는 여행객들의 불안감도 고조되고 있다.

특히 미국 이민 당국이 입국 신청자의 휴대전화와 소셜미디어(SNS) 계정을 뒤지고, 이들을 구금·추방하는 사례도 늘면서 해외 각국 정부들은 자국민 보호를 위한 조치를 강화하고 있다.

20일 일간 월스트리트저널(WSJ), 뉴욕타임스(NYT) 등 외신에 따르면 미국에 들어가려는 이민자와 관광객은 입국장에서 크게 강화한 심사를 받고 있다.


입국심사 요원들은 공격적인 질문을 던지며 이들의 비자를 더 깐깐하게 살피고 있고, 심사 과정에서 구금이 결정되는 사례도 크게 늘어난 것으로 전해졌다.

이런 분위기 속에서 부당한 처우를 받았다는 외국인들의 증언도 잇따르고 있다.

캐나다인 배우 재스민 무니는 미국에 입국하려다 돌연 구금돼 열흘 넘게 이민자 수용소에 머물러야 했다. 그는 통상 캐나다인에게 허용되는 절차대로 입국장에서 새로운 취업 비자를 신청하려고 했는데, 그 과정에서 입국이 거부됐다는 것이다.

그는 두 곳의 수용소로 옮겨지면서도 구금 이유에 대한 어떤 설명도 듣지 못했다고 한다. 그 뒤 그의 소식이 언론에 보도되고 변호사 선임이 허용된 끝에 12일 만에 풀려났다.

무니는 "나는 캐나다 여권에 변호사, 언론의 관심, 친구, 가족, 심지어 나를 옹호하는 정치인까지 있었다"며 "나보다 불리한 여건을 가진 사람들에게 이 (미국 입국) 제도가 어떻게 작용할지 상상해보라"면서 분통을 터뜨렸다.

독일인 배관공인 루카스 실라프도 미국 시민권자인 약혼녀와 함께 멕시코에서 미국으로 가려던 중 국경 검문소에서 붙잡혔다.

이민국 직원들은 그가 관광이 아니라 거주 목적으로 미국에 가는 것이라고 지적하며 그를 미국 샌디에이고의 수용소로 보냈다. 이 과정에서 직원들은 그에게 수갑을 채워 벤치에 묶어두고, 통역 및 변호사 조력도 허락하지 않았다고 한다.


그는 16일간 구금된 끝에 독일로 돌아갈 수 있었다.

실라프는 "그들은 무고한 사람들을 감옥에 갇히게 했다"며 "모든 것이 얼마나 빨리 바뀌었는지를 보고 충격을 받았다"고 말했다.

입국 심사 과정에서 휴대전화나 노트북 등 개인 전자기기를 열어보는 일도 빈번한 것으로 전해졌다. 입국 신청자들은 소셜미디어 계정을 제출하라는 요구도 받는다고 한다.

실제 한 프랑스 과학자는 최근 휴대전화에 트럼프 대통령을 비판하는 내용이 있다는 이유로 미국 입국을 거부당했다.

휴대전화에 레바논 무장정파 헤즈볼라의 수장이던 고(故) 하산 나스랄라의 사진을 갖고 있던 레바논 국적의 미국 브라운대 교수가 공항에서 추방되는 사건도 있었다.

일각에서는 이같은 전자기기 수색이 여행자의 권리 침해 아니냐는 지적이 제기되지만, 미국 행정부는 적법한 권한에 따른 직무 수행이라는 입장이다.

미 국토교통부 산하 관세국경보호청(CBP)은 테러 및 범죄 활동을 식별하고 대처하기 위해 전자기기 수색이 필요하다며 "국경을 통과하는 전자기기를 합법적으로 검사하는 권한은 디지털화가 가속하는 세계에서 미국의 안전을 지키는 데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삼엄해진 미국의 입국심사에 각국 정부들은 자국 여행자들에 각별한 주의를 당부하고 있다.

영국 외무부는 홈페이지에 "미국 당국은 입국에 관한 규칙을 엄격하게 정하고 시행한다. 당신이 규칙을 어길시 체포되거나 구금될 가능성이 있다"는 내용의 안내문을 게시했다.

앞서 2월 초에 올라와 있던 안내문에는 "미국 당국이 입국 규정을 정하고 시행한다"는 내용만 있었다.

독일도 비자나 입국 면제를 받았다고 해서 미국 입국이 보장되는 것이 아니란 점을 강조하는 내용으로 미국 여행에 관한 권고 메시지를 보완했다.

미국 이민 변호사인 엘리사 타우브는 미국 주간지 뉴스위크와의 인터뷰에서 "고객들에게 휴대전화나 노트북을 반입할 때 실수로 논란의 여지가 있는 사진을 저장하지 않도록 당부한다"고 말했다.

또 다른 미국 변호사 캐슬린 캠벨 워커는 WSJ과의 인터뷰에서 강화한 심사 탓에 고객들이 입국이 승인될지 파악하는 것이 "매우 어려운 수수께끼"가 됐다며 혼란스러운 분위기를 전했다.

 

 

 

출처 : 미주한국일보

Title View
[공지] 취업 전에 안보면 무조건 후회하는 영상
09/03/2024
[공지] Part-time 게시판 공지사항
02/12/2021
\"미국 기업의 해외 수익에 대한 과세는 합헌\"
Tax & Salary
3371
보험료 뛰고 갱신 불허 …\'펫 보험’도 대란
Talk & Talk
3281
원유 재고 증가에도 국제유가 7주래 최고
Current Economy
2331
한국-멕시코 직항 재개…8월 1일부터 매일 운항
Travel & Food
2886
백만장자 ‘엑소더스’… 한국 4번째로 많아
Talk & Talk
2685
최저임금 인상 = 고용 감소?…‘보이지 않는 손’은 단순하지 않다
Current Economy
2844
실리콘 밸리에 ‘중국 스파이’ 주의보 ‘비상’
Talk & Talk
2907
CPU서 GPU로 전환… “엔비디아 칩셋 대체불가”
Talk & Talk
2170
반가운 개스값 하락… 3달러대 주유소도
Talk & Talk
1882
\"다른 차원 향하는 포털?\"… 美사막에 또 등장한 \'금속기둥\' 정체
Travel & Food
1097
하루 커피 3잔 의외의 효과...간질환 오해와 진실 7가지
Travel & Food
1446
레인빅토리호에 \'한국전쟁관\' 만든다
Travel & Food
2598
\"공휴일에 일해도 1.5배 오버타임 못받는다\"
Tax & Salary
2830
코로나 방심 못한다… 감염 속출
Live Updates (COVID-19, etc.)
2606
세계 외환보유고 달러 비중 ‘뚝’
Current Economy
2516
포브스 ‘글로벌 2000’ 한국 기업은?
Talk & Talk
2235
5월 소매판매 전월비 0.1%↑… 시장기대 밑돌아
Current Economy
1620
주택 임대료 다시 ‘들썩’… 서민층 ‘고통’
Talk & Talk
2337
글로벌 자동차 판매…중국이 미국 제쳐
Talk & Talk
2092
동북부·중북부 이번 주까지 찜통더위… “6월 폭염 이례적”
Talk & Talk
2008
다카(DACA) 이후 최대 규모 불체자 구제 시행
Talk & Talk
2007
삼성전자 515명, 엔비디아 갔다
Job & Work Life
2748
AI 인재 1명 잡으려... MS, 회사 통째로 샀다
Job & Work Life
4132
5월 소매판매 전월대비 0.1%↑…시장기대 밑돌아
Current Economy
2521
올 여름 10대 고용… 직종·급여 증가
Job & Work Life
3163
“한끼 10달러도 비싸다”… 가격인하 경쟁
Travel & Food
2582
미국, 전 세계 대외투자 ‘블랙홀’ 부상
Current Economy
2458
세계 각국 정부…인공지능 투자 경쟁적 확대
Talk & Talk
2410
폭염에 물가·공급망 직격탄…‘히트플레이션’(열+인플레이션)덮친다
Talk & Talk
2251
배 56척에 선수 싣고 센강 퍼레이드...파리 올림픽 개회식 리허설 보니
Talk & Talk
2835
초봉 5억 주는 빅테크로... AI 고급 인재 40%가 한국 떠난다
Job & Work Life
4143
캘리포니아 차량번호판 넘버 확 바뀐다
Talk & Talk
3412
“미국 성인 20% ‘롱코비드’ 경험…女·심혈관질환자 회복 더뎌”
Live Updates (COVID-19, etc.)
2467
폭염부터 눈까지…미국에 이번주 ‘역대급 기상변덕’ 닥친다
Talk & Talk
2177
숨은 수수료 ‘꼼짝마’… 내달부터 가주서 ‘부과 금지’
Talk & Talk
21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