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카운티 인상안 1일 발효… 기존 9.50%서 9.75%로
▶ 도시별로 인상률 달라… 팜데일 최고 11.25%까지
4월1일부터 LA 카운티의 판매세가 지역별로 0.25%에서 최고 1%까지 올라간다. LA 한인타운 내 마켓 생필품 매대의 모습. [박상혁 기자]
나날이 치솟는 물가 상승으로 한인들의 경제적 부담이 가중되는 가운데, 4월 1일부터 LA 카운티 일원에서 판매세(sales tax)가 일제히 인상돼 서민들의 가계비 부담이 더욱 커질 전망이다. LA시가 포함된 LA 카운티 전체적으로 적용되는 기본 판매세율은 9.5%에서 9.75%로 0.25% 포인트 올라갔다.
이번 판매세 인상은 2024년 11월 선거에서 통과된 메져 A에 따라 LA 카운티에서 판매되는 상품 1달러당 0.5%의 판매세를 부과해 노숙자 지원 서비스와 저렴한 주택 조례에 자금을 지원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여기에 LA 카운티 내 일부 시가 발의한 자체적인 판매세 인상이 더해져, 도시별 상승폭은 0.25~1% 포인트 수준이다. (표 참조)
버뱅크와 아케디아, 가디나, 글렌데일, 놀워크, 패사디나, 사우스 패사디나, 라카냐다, 롱비치, 몬테벨로, 몬트레이팍 등은 10.25%에서 10.5%로 0.25% 포인트 상승했다. 다우니는 10%에서 10.5%로, 샌타모니카는 10.25%에서 10.75%로 0.5% 포인트 인상됐다.
가장 높은 인상폭을 보인 도시는 아테시아, 팜데일 등으로 각각 9.5%에서 10.5%, 10.25%에서 11.25%로 1% 포인트 상승했다. LA 카운티에서 판매세가 가장 높은 팜데일과 LA시의 격차는 1.5%포인트 차이다.
반면 오렌지 카운티와 리버사이드 카운티의 판매세는 7.75%로 변동이 없다. 남가주에서 가장 판매세가 낮은 벤추라 카운티는 7.25%다.
오렌지 카운티에선 일부 도시에서만 판매세가 인상됐다. 한인 업소들이 밀집한 비치 길이 코리아타운으로 지정된 부에나팍은 지난 선거에서 경찰국 인력 확보를 비롯해 시 예산 충당을 위한 발의안 R을 통과시킴에 따라 판매세가 7.75%에서 1% 포인트 오른 8.75%로 변경됐다.
라하브라는 8.25%에서 8.75%로, 실비치가 8.75%에서 9.25%로 모두 0.5% 포인트 인상됐다. 그럼에도 LA 카운티 판매세에 비해 여전히 낮은 수준이다.
판매세 인상은 소비자와 기업에 영향을 미쳐 상품과 서비스 비용에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더욱이 물가 상승이 계속되는 상황에서, 이러한 판매세 상승은 서민 경제를 짓누르는 또 하나의 원인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출처 : 미주한국일보
|
||||||||||
Title | View |
취업 전에 안보면 무조건 후회하는 영상
|
09/03/2024 |
Part-time 게시판 공지사항
|
02/12/2021 |
트럼프, 연방 국세청도 폐지하나
Talk & Talk
|
567 |
관세 전 ‘사재기’ … LA·롱비치항 물동량↑
Current Economy
|
716 |
아마존 매출, 월마트 추월하며 미국 1위
Talk & Talk
|
531 |
재택근무 축소… 출근비율 코로나 이후 최고
Job & Work Life
|
1029 |
신규 실업수당 청구 22만건… ‘예상 상회’
Job & Work Life
|
918 |
가계 부채 연체율 3.6%… 4년반래 최고
Current Economy
|
1090 |
[경제 트렌드] “아침 한 끼가 25달러?… 안 먹고 말지”
Current Economy
|
896 |
사우스웨스트, 창사 후 첫 대규모 감원
Job & Work Life
|
906 |
산불 피해 주택 소유주에 100% 보상
Talk & Talk
|
1145 |
트럼프 일가, 대선 승리로 ‘잭팟’
Talk & Talk
|
1111 |
“관세 맞을래, 공장 지을래”… 해외기업들 미국행
Current Economy
|
919 |
금값, 올 연말에 최소 3,100달러 간다
Current Economy
|
922 |
美 불법입국 적발 4년새 최저치로 떨어져
Talk & Talk
|
849 |
치솟은 임금, 결국 근무시간 줄였다
Job & Work Life
|
786 |
15년 만의 최악 독감… 병원들 ‘북적’
Talk & Talk
|
694 |
첫 주택 구입자 다운페이 9% 불과
Current Economy
|
766 |
사상최고 계란값… 최악의 ‘에그플레이션’
Travel & Food
|
798 |
IRS \"세금보고 \'완벽\'해야 리펀드 빨리 받는다\"
Tax & Salary
|
928 |
NYSE, 텍사스 증권거래소 신설
Current Economy
|
877 |
공무원 7만여명 퇴직신청 목표비율 5∼10%에 미달
Job & Work Life
|
975 |
연준, “물가와의 싸움 길고 멀것”
Current Economy
|
736 |
치솟는 계란 가격… 닭 사육 급증
Talk & Talk
|
748 |
공예품 업체 ‘조앤’ 매장 500개 폐쇄
Current Economy
|
765 |
국가별 비관세 장벽·환율·역외세금 등 고려
Current Economy
|
725 |
전 세계 ‘상호관세’ 무역전쟁 선전포고
Current Economy
|
557 |
종교이민 1년 5개월 ‘뒷걸음질’
Visa,Green Card,Citizenship
|
833 |
거센 강달러… 수익성 악화에 떠는 미기업
Current Economy
|
668 |
신규 실업수당 청구 21만3천건…한주 전 대비 7천건↓
Job & Work Life
|
1259 |
트럼프 관세 확대에 금 ‘고공행진’
Current Economy
|
632 |
1월 물가 3% ‘깜짝 상승’ … 금리인하 ‘희박’
Current Economy
|
636 |
“올해 연준 금리인하 1회 이하” 전망
Current Economy
|
672 |
1월 소비자물가 ‘깜짝 상승’…계란·휘발유값 상승에 3.0%↑
Current Economy
|
985 |
“너무 비싸서 못간다”…(디즈니월드) ‘1인당 1천불’
Travel & Food
|
783 |
미국내 모든 불체자들이 추방된다면… “우유·치즈도 식탁서 사라진다”
Current Economy
|
880 |
트럼프 플라스틱빨대 장려 상징적 환경규제 뒷걸음질
Talk & Talk
|
67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