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특허만료 블록버스터 쏟아져… K바이오, 38조 시장 도전
By ns2xxxx Posted: 2025-03-21 10:53:09

바이오 시밀러 출시 경쟁

 

 

그래픽=양인성

그래픽=양인성

 

 

세계 최대 의료 시장인 미국에서 올해 특허 기한이 끝났거나 만료를 앞둔 블록버스터(연 매출 1조원 이상 의약품)가 10종을 넘어서면서 새로 열린 연 매출 38조원 ‘바이오 시밀러(biosimilar)’ 시장이 달아오르고 있다. 바이오 시밀러는 특허가 만료된 오리지널 바이오 의약품과 유사하게 만든 복제 의약품을 뜻한다. 국내 바이오 기업들도 특허가 대거 풀린 미국 시장을 겨냥한 바이오 시밀러를 출시하며 경쟁에 뛰어들었다.

 

그래픽=양인성

그래픽=양인성

 

◇美 38조원 시장 열려

 

한국바이오협회는 미국의 제약 전문지 피어스파마의 보도를 인용해 올해 미국에서 독점권을 상실했거나 상실을 앞두고 있는 블록버스터 상위 10종의 작년 미국 매출액이 262억달러(약 38조2300억원)에 달한다고 지난 19일 밝혔다. 이 매출액은 각 회사의 실적 발표 자료와 의료 서비스 회사 등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다.

 

이미 특허가 만료된 블록버스터 중 지난해 미국에서 가장 많은 매출을 낸 의약품은 존슨앤드존슨의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스텔라라’다. 스텔라라의 지난해 글로벌 매출액은 103억 6000만달러(약 15조1000억원)에 달한다. 이 가운데 67억2000만달러(약 9조8000억원)가 미국 매출액이다. 국내 제약·바이오 상위 10개 기업의 연 매출액을 모두 합쳐도 스텔라라의 연 매출액보다 적다.

 

이 때문에 많은 제약사가 지난해 스텔라라의 특허 만료를 앞두고 바이오 시밀러를 개발해 왔다. 올해 바이오 시밀러 7종이 미국 시장에서 스텔라라와 경쟁하고 있고, 앞으로 더 많은 스텔라라 바이오 시밀러가 출시될 예정이다.

 

국내 바이오 기업들도 스텔라라 바이오 시밀러 경쟁에 잇따라 뛰어들었다. 가장 먼저 삼성바이오에피스가 지난달 24일 ‘피즈치바’를 스텔라라 바이오 시밀러로 미국 시장에 출시했다. 셀트리온과 동아에스티는 미 식품의약국(FDA)에서 각각 ‘스테키마’와 ‘이뮬도사’의 품목 허가를 받았고, 올해 중 미국에 출시한다는 계획이다.

 

삼성바이오에피스와 셀트리온은 골다공증 바이오 시밀러의 미국 출시도 앞두고 있다. 오리지널 의약품은 암젠의 ‘플롤리아’와 ‘엑스게바’로, 골다공증과 골암 치료 등에 사용되고 있다. 플롤리아와 엑스게바의 지난해 세계 매출은 66억달러(약 9조6000억원)로 집계됐다. 이 가운데 미국 매출은 43억9000만달러다.

 

◇K 바이오 시밀러, 빠른 임상이 강점

 

블록버스터의 특허 만료는 바이오 시밀러 개발에 집중해 온 국내 바이오 기업들에 기회다. 오리지널 의약품보다 저렴한 가격에 거의 동일한 효능을 목표로 한 바이오 시밀러는 보험 약가를 절감하고자 하는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정책 방향과도 맞는다. 한국바이오협회 바이오경제연구센터에 따르면 FDA가 첫 바이오 시밀러를 허가한 2015년 이래 올해 2월까지 총 68종 바이오 시밀러가 미국 허가를 획득했다. 이 중 20종이 한국산으로, 미국(26 종)에 이어 둘째로 많다.

 

국내 기업들이 바이오 시밀러 제품군에서 활약하는 것은 임상 결과를 경쟁사 대비 빠르게 얻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미국 임상시험 정보 사이트 클리니컬 트라이얼스에 따르면 바이오 시밀러 개발 과정에서 한국 바이오 기업의 임상 3상 소요 시간이 글로벌 경쟁사에 비해 최대 1년 이상 덜 걸린다.

 

오리지널 의약품의 화학식을 참고해 동일한 성분으로 제조하면 임상시험 없이 허가를 받을 수 있는 제네릭(복제약)과는 달리 바이오 시밀러는 오리지널 의약품과 동일한 생물학적 특성을 가진다는 임상 근거가 필수적이어서 개발 난도가 높다. 특히 임상 마지막 단계인 임상 3상 과정은 가장 오랜 시간과 비용이 집중되는 구간이다.

 

이처럼 바이오 시밀러 시장이 급성장하고 있지만, 국내 기업들이 특허 소송에 대비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트럼프 대통령이 지식재산권(IP)을 강조하고 있어 오리지널 의약품을 보유한 제약사들이 권리를 더욱 강하게 주장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일례로 삼성바이오에피스는 블록버스터 ‘아일리아’의 특허를 가진 미국 리제네론 파마슈티컬스와 소송전을 벌이고 있다. 이와 관련해 바이오경제연구센터는 “바이오 시밀러 시장 확대를 위해선 지식재산권을 비롯해 해결해야 할 여러 문제가 있다”고 했다.

 

바이오 시밀러(biosimilar)

특허가 만료된 오리지널 바이오 의약품과 유사하게(similar) 만든 복제 의약품. 바이오 의약품은 살아 있는 생명체로 만들어 오리지널과 100% 똑같은 약을 만들 순 없기 때문에 ‘시밀러’라는 표현을 쓴다. 후발 주자가 쉽게 따라 하기도 어렵다. 반면 화학 합성 의약품을 복제한 의약품은 제너릭(generic)이라고 한다. 화학식만 알면 똑같이 만들 수 있다.

 

 

출처 : 조선일보 

Title View
[공지] 취업 전에 안보면 무조건 후회하는 영상
09/03/2024
[공지] Part-time 게시판 공지사항
02/12/2021
“경제 연착륙 경로… 침체 피할 것”
Current Economy
1449
금값·은값 동반 상승…안전 자산 심리 상승
Current Economy
1164
잘 나가던 기술·전문직… 취업난에 몸부림
Job & Work Life
1754
인천~솔트레이크시티 델타, 내년 6월 직항
Travel & Food
1402
대한항공, 비즈니스·일등석 ‘최우수’
Travel & Food
1278
아마존, 주 5일 출근 직원 73% ‘이직 고려’
Job & Work Life
1382
또 ‘금란’… 조류독감에 계란 가격 ‘들썩’
Travel & Food
1776
5% 모기지이자 눈앞…연준 ‘빅컷’ 2년래 최저
Current Economy
1544
‘리얼 ID’ 전면 시행 “또 2년 연기”
Talk & Talk
2141
한인타운 축제 속으로…화려한 개막 ‘팡파르’
Talk & Talk
1916
\'메타버스 올인\' 메타, 차세대 AR 안경 시제품 \'오리온\' 공개
Talk & Talk
1983
경찰 모터사이클 쇼 등 놓치면 후회할 볼거리 ‘가득’
Talk & Talk
2127
LA 공립학교 태권도 교육 계속된다
Talk & Talk
2341
뉴욕한국문화원에 ‘한글벽’…강익중 작가 “세계인 마음 이어”
Travel & Food
1716
“별의 저주?”… 뉴욕 미슐랭 식당 40% 폐업
Travel & Food
1764
소비자신뢰지수 3년래 최대폭 하락
Current Economy
1646
“의료부채 신용등급 반영 금지… 금융 수수료 제한”
Talk & Talk
1924
유타, 한국 운전면허 인정 ‘상호인정 약정’ 27번째 주
Travel & Food
1706
역대급 축제 막 오른다… 볼거리·먹거리 ‘풍성’
Talk & Talk
2214
금리 인하 시대… 소비자들 저축상품 ‘락인’
Current Economy
1864
가주 고용시장 ‘먹구름’…일자리 둔화·실업자 증가
Job & Work Life
2316
플라스틱 마켓 봉투 전면 퇴출된다
Talk & Talk
2083
전국 은행들… 고금리 시대 ‘이자 놀이’
Current Economy
2180
실업수당 신규청구… 4개월 만에 최저
Job & Work Life
1861
알래스카항공, 하와이안항공 인수
Travel & Food
2001
美 빅컷, 4년 반 만에 금리인하 시대 열었다
Current Economy
2053
이자 부담 줄고… 투자·일자리 창출 기대
Current Economy
1773
한국, 사상 첫 \'美 최대 투자국\' 됐다
Current Economy
1779
한효주도 이하늬도 글귀 새긴 \'한글벽\' …7000여명의 염원이 모였다
Travel & Food
1799
도루까지 장착한 \'삼도류\'...\"오타니 50-50, 달착륙급 업적\"
Talk & Talk
2038
오타니 50호 홈런볼 주운 팬, 다저스에 안넘겨... 공 가치는 얼마?
Talk & Talk
4520
졸업생 연봉 가장 높은 대학은 MIT
Tax & Salary
2282
실업수당 신규청구 21만9천건…4개월 만에 최저
Job & Work Life
2137
조선 청화백자 37만 달러 낙찰
Talk & Talk
1897
일본 제철 ‘작전상 후퇴?’ US스틸 인수 취하후 재신청
Current Economy
18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