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돌연 구금’ 외국인 증언 잇따라… “수갑 채우고 통역도 제공 안해”
▶ “구금될수도”…각국 정부, 미국 여행자에 ‘경고’ 안내문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불법 이민자 척결 기조에 따라 미국 입국심사가 크게 강화하면서 미국에 가려는 여행객들의 불안감도 고조되고 있다.
특히 미국 이민 당국이 입국 신청자의 휴대전화와 소셜미디어(SNS) 계정을 뒤지고, 이들을 구금·추방하는 사례도 늘면서 해외 각국 정부들은 자국민 보호를 위한 조치를 강화하고 있다.
20일 일간 월스트리트저널(WSJ), 뉴욕타임스(NYT) 등 외신에 따르면 미국에 들어가려는 이민자와 관광객은 입국장에서 크게 강화한 심사를 받고 있다.
입국심사 요원들은 공격적인 질문을 던지며 이들의 비자를 더 깐깐하게 살피고 있고, 심사 과정에서 구금이 결정되는 사례도 크게 늘어난 것으로 전해졌다.
이런 분위기 속에서 부당한 처우를 받았다는 외국인들의 증언도 잇따르고 있다.
캐나다인 배우 재스민 무니는 미국에 입국하려다 돌연 구금돼 열흘 넘게 이민자 수용소에 머물러야 했다. 그는 통상 캐나다인에게 허용되는 절차대로 입국장에서 새로운 취업 비자를 신청하려고 했는데, 그 과정에서 입국이 거부됐다는 것이다.
그는 두 곳의 수용소로 옮겨지면서도 구금 이유에 대한 어떤 설명도 듣지 못했다고 한다. 그 뒤 그의 소식이 언론에 보도되고 변호사 선임이 허용된 끝에 12일 만에 풀려났다.
무니는 "나는 캐나다 여권에 변호사, 언론의 관심, 친구, 가족, 심지어 나를 옹호하는 정치인까지 있었다"며 "나보다 불리한 여건을 가진 사람들에게 이 (미국 입국) 제도가 어떻게 작용할지 상상해보라"면서 분통을 터뜨렸다.
독일인 배관공인 루카스 실라프도 미국 시민권자인 약혼녀와 함께 멕시코에서 미국으로 가려던 중 국경 검문소에서 붙잡혔다.
이민국 직원들은 그가 관광이 아니라 거주 목적으로 미국에 가는 것이라고 지적하며 그를 미국 샌디에이고의 수용소로 보냈다. 이 과정에서 직원들은 그에게 수갑을 채워 벤치에 묶어두고, 통역 및 변호사 조력도 허락하지 않았다고 한다.
그는 16일간 구금된 끝에 독일로 돌아갈 수 있었다.
실라프는 "그들은 무고한 사람들을 감옥에 갇히게 했다"며 "모든 것이 얼마나 빨리 바뀌었는지를 보고 충격을 받았다"고 말했다.
입국 심사 과정에서 휴대전화나 노트북 등 개인 전자기기를 열어보는 일도 빈번한 것으로 전해졌다. 입국 신청자들은 소셜미디어 계정을 제출하라는 요구도 받는다고 한다.
실제 한 프랑스 과학자는 최근 휴대전화에 트럼프 대통령을 비판하는 내용이 있다는 이유로 미국 입국을 거부당했다.
휴대전화에 레바논 무장정파 헤즈볼라의 수장이던 고(故) 하산 나스랄라의 사진을 갖고 있던 레바논 국적의 미국 브라운대 교수가 공항에서 추방되는 사건도 있었다.
일각에서는 이같은 전자기기 수색이 여행자의 권리 침해 아니냐는 지적이 제기되지만, 미국 행정부는 적법한 권한에 따른 직무 수행이라는 입장이다.
미 국토교통부 산하 관세국경보호청(CBP)은 테러 및 범죄 활동을 식별하고 대처하기 위해 전자기기 수색이 필요하다며 "국경을 통과하는 전자기기를 합법적으로 검사하는 권한은 디지털화가 가속하는 세계에서 미국의 안전을 지키는 데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삼엄해진 미국의 입국심사에 각국 정부들은 자국 여행자들에 각별한 주의를 당부하고 있다.
영국 외무부는 홈페이지에 "미국 당국은 입국에 관한 규칙을 엄격하게 정하고 시행한다. 당신이 규칙을 어길시 체포되거나 구금될 가능성이 있다"는 내용의 안내문을 게시했다.
앞서 2월 초에 올라와 있던 안내문에는 "미국 당국이 입국 규정을 정하고 시행한다"는 내용만 있었다.
독일도 비자나 입국 면제를 받았다고 해서 미국 입국이 보장되는 것이 아니란 점을 강조하는 내용으로 미국 여행에 관한 권고 메시지를 보완했다.
미국 이민 변호사인 엘리사 타우브는 미국 주간지 뉴스위크와의 인터뷰에서 "고객들에게 휴대전화나 노트북을 반입할 때 실수로 논란의 여지가 있는 사진을 저장하지 않도록 당부한다"고 말했다.
또 다른 미국 변호사 캐슬린 캠벨 워커는 WSJ과의 인터뷰에서 강화한 심사 탓에 고객들이 입국이 승인될지 파악하는 것이 "매우 어려운 수수께끼"가 됐다며 혼란스러운 분위기를 전했다.
출처 : 미주한국일보
|
||||||||||
Title | View |
취업 전에 안보면 무조건 후회하는 영상
|
09/03/2024 |
Part-time 게시판 공지사항
|
02/12/2021 |
인도, 美대학 유학생 출신국서 中 제치고 1위…한국은?
College Life
|
2460 |
트럼프 관세 가장 큰 피해자는 미 소비자
Current Economy
|
2589 |
대학 졸업생 실업률 급증 8명 중 1명은 ‘백수’
Job & Work Life
|
2414 |
에너지 절약 가정에 8천달러 준다
U.S. Life & Tips
|
2608 |
\"무보수로 주 80시간 일할 초고지능 인재 찾아요\" 머스크 정부효율부 구인
Job & Work Life
|
2392 |
넷플릭스 광고형 멤버십…전 세계 7,000만명 달해
Talk & Talk
|
1799 |
소비자 물가 둔화세 멈춰…인플레 우려 다시 고조
Current Economy
|
1696 |
주간 신규실업수당 청구 21만7천건…6개월만에 최저
Job & Work Life
|
2372 |
10월 도매물가도 둔화세 주춤…인플레 우려 재개
Current Economy
|
1748 |
트럼프 취임 앞두고 영주권 문호 전면 동결
Visa,Green Card,Citizenship
|
2601 |
데이브 민, 연방 하원의원 당선
Talk & Talk
|
2161 |
라스베이거스서 \'한국 문화유산\' 미디어 아트전
Travel & Food
|
2123 |
“트럼프팀, 전기차보조금 폐지계획”…韓전기차·배터리도 영향권
Talk & Talk
|
2067 |
트럼프 복귀에 불안 “시민권 따자” 급증
Talk & Talk
|
2129 |
엔비디아 대항마 AMD 직원 4% 감축…1천명 수준 예상
Job & Work Life
|
2161 |
원·달러 환율 1,400원 뚫었다… 뉴노멀된 ‘킹달러’
Current Economy
|
1881 |
아마존, 초저가 상품 판매 웹스토어 오픈…테무·쉬인에 ‘맞짱’
Talk & Talk
|
1867 |
‘연일 신기록’ 비트코인, 9만3천달러선 돌파 후 반락
Talk & Talk
|
2134 |
헤그세스·왈츠·밴스… 중동서 싸운 젊은 참전용사들이 美 이끈다
Talk & Talk
|
2127 |
‘트럼프 효과’ 날개 단 가상화폐…‘역대급 상승세’
Current Economy
|
2401 |
\"연봉 4억!\" 파운드리 인재 구하는 삼성
Job & Work Life
|
2271 |
빅테크들 \"AI 특성에 브랜드 가치를 담아라\"… 아이콘 개발 박차
Talk & Talk
|
2085 |
머스크와 \'악연\'… 올트먼, 美 대선 \'최대 패배자\' 될까
Talk & Talk
|
2182 |
비트코인, 고공행진 지속…8만4천 달러선 첫 돌파
Current Economy
|
2063 |
미 우선주의 한국차 ‘겹악재’… 관세 인상땐 수출차질
Current Economy
|
2231 |
신규실업수당 청구 22만건… 전망치 소폭 상회
Job & Work Life
|
2200 |
LA 새 랜드마크 \'LACMA\' 준공 눈앞
Travel & Food
|
2254 |
IRS, 내년 표준공제·과세소득 기준 발표
Tax & Salary
|
2829 |
[기준금리 인하 배경·전망] 연준 지속적 인하 기조 확인… 인플레 완화 반영
Current Economy
|
2296 |
“과거 같은 제로금리 시대 이제 종말”
Current Economy
|
2128 |
전국 주의회서도 한인 정치인들 대거 당선 ‘약진’
Talk & Talk
|
2165 |
트럼프 “불법이민자 대규모 추방 불가피”
Talk & Talk
|
1951 |
대선 후 첫 결정, 美 연준 기준금리 0.25%포인트 인하
Current Economy
|
2321 |
[트럼프 재집권] “당장 추방”…반이민 물결 지구촌 뒤덮나
Talk & Talk
|
1614 |
“연준, 11·12월 0.25%p 금리 인하”
Current Economy
|
16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