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년 내 AI에 밀려날 것\"… 인력 감축 1위 전망 나온 이 직종
By n8cxxxx Posted: 2025-03-17 10:41:35

지난 9일 서울 중구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 아트홀1관에서 열린 '서울 AI페스타 2025'에서 참가자들이 생성 인공지능(AI) 기반 인간로봇상호작용(HRI)을 체험하고 있다. /연합뉴스

지난 9일 서울 중구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 아트홀1관에서 열린 '서울 AI페스타 2025'에서 참가자들이 생성 인공지능(AI) 기반 인간로봇상호작용(HRI)을 체험하고 있다. /연합뉴스

 

 

향후 실제 산업 현장에서 생성 인공지능(AI)으로 인해 가장 많은 일자리가 줄어들 직종은 서비스·물류·인사관리(HR)라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글로벌 컨설팅 기업 맥킨지는 작년 7월 세계 각국 기업 관계자 1400여 명에게 생성 AI 활용 현황을 묻고 그 결과를 분석한 내용을 최근 공개했다. 여기에서 ‘향후 3년 사이 생성 AI로 인해 3% 이상 규모의 인원 감축이 예측되는 분야’를 묻자, 전체 응답자의 48%가 ‘서비스 운영 직종’을 꼽았다.

 

이어 ‘물류 관리’(공급망 및 재고 관리)와 ‘HR’을 선택한 사람들은 각각 전체의 47%와 46%였다. 이 외에 ‘생산’(41%)과 ‘리스크 관리·법무·규정 준수’(37%) 직종도 많은 답변을 차지했다. 반면 인원 감축 전망이 가장 적었던 건 ‘서비스 및 상품 개발’(23%)과 ‘IT’(25%) 직종으로 나타났다.

 

서비스 직종에서 향후 3년 사이 총원의 20%가량을 해고하는 대규모 감원이 있을 거라고 내다본 응답자는 전체 15%에 달했다. 또 생성 AI를 1곳 이상의 업무 영역에서 사용 중이라고 답한 경우는 전체의 71%였다. 이는 2023년 조사(33%)와 비교해 두 배 이상 늘어난 수치다.

 

업종별로 보면 ‘테크’와 법무 같은 ‘전문 서비스’ 영역은 생성 AI를 업무에 사용하고 있다는 답변율이 각각 88%와 80%로 가장 높았다. ‘미디어·통신’과 반도체·항공우주 등의 ‘고도 제조업’도 각각 79%로 전체 평균치를 웃돌았다. 다만 ‘금융’(65%) ‘보건·제약·의료 상품’(63%) ‘에너지·소재’(59%)는 상대적으로 낮았다.

 

이처럼 업종별 수치가 차이를 보이는 데는 생성 AI가 당장 필요한 수요가 사업마다 다르고, 기업 문화와 환경 등 여러 요인이 영향을 미치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맥킨지는 “서비스나 물류 등에서 인원 감축 전망이 나왔지만, 반대로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링이나 상품 개발 같은 직종에선 직원 수를 더 늘려야 할 것이라는 답변도 많았다”고 전했다.

 

 

 

출처 : 조선일보

 

Title View
[공지] 취업 전에 안보면 무조건 후회하는 영상
09/03/2024
[공지] Part-time 게시판 공지사항
02/12/2021
집값 2020년 이후 47.1%↑… “공급 부족·모기지 금리 등 때문”
Current Economy
1311
4월 도매물가 전월대비 0.5%↑…서비스물가가 상승 주도
Current Economy
3533
파월 의장 “美 인플레 지표 다시 둔화할 것으로 기대”
Current Economy
2885
미 기업들 ‘짠물 경영’에 1분기 순이익 증가
Current Economy
2043
“여전히 높은 주택 렌트… 금리인하 막을 수도”
Current Economy
2190
AI 등 첨단산업 전력수요 급증에 ‘전력난’
Talk & Talk
2467
대학 졸업식도 반전시위 ‘몸살’
Talk & Talk
2328
캐나다 서부 대형산불 확산… 미국까지 비상
Talk & Talk
2065
거주지 증명 2가지 필요… DMV 예약후 방문해야
Talk & Talk
2509
자율주행 무인택시 잇단 사고
Talk & Talk
2097
메모리얼 연휴 4,300만 떠난다
Travel & Food
2020
뉴욕 롱아일랜드 태권도 도장에서 같이 일하실 분을 모십니다.
Part Time Jobs
259
이민신분 이유로 직원 착취 못한다
Job & Work Life
1809
사회보장 은퇴연금 2033년 고갈 전망
Talk & Talk
2657
재택근무 못하게 되자… “빅테크 고급 인력 회사 떠났다”
Job & Work Life
3293
“바이든, 중국산 전기차 관세율 100%로 올린다”
Current Economy
3502
애플 매장, 첫 파업 결의 업무·낮은 임금 쟁점
Job & Work Life
3470
아시아나, ‘한국행 여름특가 이벤트’
Travel & Food
2753
코스크 골드바 구입해도…“제값 받고 팔기 어렵다”
Talk & Talk
3130
라면·김치가 선봉… 미국, K푸드 최대 수출시장 부상
Travel & Food
3263
5월 소비심리지수 하락… 1년 기대인플레는 상승
Current Economy
2195
“원화 더 내릴 수 있다… 적정 환율 1,417원”
Current Economy
2502
35조달러 눈앞…부채 급증에 ‘경고음’ 확대
Talk & Talk
2552
\"명문 사립대 졸업생이 수입 더 좋아\"
College Life
1271
고등학생도 \'반전시위\'… \"Z세대 이스라엘 비판 커져\"
Talk & Talk
1475
공연예술 콘텐츠 상영회 ‘K-클래식 시리즈’
Travel & Food
3299
빚은듯 그린 달항아리 인생의 궤적이 담기다
Travel & Food
3663
디즈니와 워너 브러더스 스트리밍 묶음상품 출시
Talk & Talk
2561
애플도 AI 경쟁 참전…아이패드로 신호탄
Talk & Talk
3073
“고금리 예상보다 오래 유지해야 할 듯”
Current Economy
2512
비트코인 수익성 견조…내년에 15만달러 도달
Talk & Talk
2495
중국발 가짜 온라인몰만 7만여개 활동 ‘비상’
Talk & Talk
3082
“일단 쓰고 갚는 건 나중에”… 선구매·후결제 급증
Talk & Talk
2842
불법낙서 범벅 LA 고층아파트 결국 매물로
Talk & Talk
3098
가주내 주택보험료 또 인상
Talk & Talk
28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