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값 1,500달러 오른다… 미 ‘인플레 부메랑’ 공포
By tfzxxxx Posted: 2025-02-12 10:14:52

▶ 트럼프 관세 전쟁
▶ 안전자산 금 수요늘며 연일 상승

▶ 미서 알루미늄·구리값 웃돈 붙어
▶ 상호관세 우려 커피 원두값도 쑥
▶ 도이체방크 미PCE 0.4%P↑전망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폭탄이 가시권에 들어오면서 철강과 구리·커피 등 전 세계 주요 원자재와 상품 가격이 요동치고 있다. 경제 불안과 수입 물가 상승 우려에 안전자산 수요가 불붙는가 하면 미국 시장에서 더 비싸게 거래되는 시장 왜곡 현상도 심해지고 있다.

마켓워치에 따르면 이날 금 선물은 역대 최고가인 트로이온스당 2934.4 달러에 마감했다. 올해 들어서만 일곱 번째 최고가다. 로이터통신은 “관세 계획에 따른 물가 상승과 무역전쟁에 대한 우려로 안전자산인 금 수요가 늘고 있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최근의 금 수요가 미국에 집중되고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런던금시장연합회(LBMA)에 따르면 금괴의 미국 운송 수요가 급증하면서 1월 런던 금고에 보관된 금 재고는 8535톤으로 전월 대비 1.7% 줄었다. 반면 뉴욕상품거래소(COMEX)의 창고에 보관된 금은 3460만 온스로 11월 말 이후 90% 이상 증가했다. 본격적으로 관세가 부과돼 미국 내 금 수입 가격이 오르기 전에 금을 확보하려는 움직임이다.

알루미늄과 구리 등 금속 원자재도 마찬가지다. 파이낸셜타임스(FT)에 따르면 이날 뉴욕상품거래소에서 구리 선물 가격은 이날 파운드당 4.7달러로 톤당 기준으로는 한때 1만 달러를 넘었다. 런던금속거래소(LME)보다 톤당 800달러 비싸게 거래됐다. 2020년 초 이후 가장 큰 격차로 미국 시장에서 구리 수요가 몰린다는 의미다. 전문가들은 이번 가격 상승의 배경으로 구리의 산업 수요가 아닌 관세를 지목하고 있다. 영국 투자은행(IB) 팬뮤어리버럼의 톰 프라이스 전략가는 “미국 시장의 높은 가격은 시장의 왜곡을 반영한다”며 “미국 구매자들은 원자재를 손에 넣기 위해 서로 경쟁하고 있다”고 꼬집었다.


알루미늄 시장도 들썩이고 있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그룹에 따르면 3월물 알루미늄 선물 거래에서 다른 시장 대비 미국 중서부 시장에 붙은 웃돈(미스웨스트 프리미엄)은 전 거래일보다 약 10% 오른 파운드당 30센트를 기록했다. JP모건은 “모든 국가에 관세가 부과되면 재고가 빨리 소진돼 미국 중서부 프리미엄이 파운드당 40센트가 넘을 수도 있다”고 전망했다.

원자재 가격 상승이 결국 인플레이션으로 이어질 것이라는 우려도 확산하고 있다. 7일 미시간대가 발표한 1월 소비자 조사에서 1년 인플레이션 기대는 4.3%로 한 달 전(3.3%)에 비해 1%포인트나 급등했다. 조사일인 4일은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과 멕시코·캐나다 대상 관세를 발표한 지 사흘 뒤였다. 딘 베이커 경제정책연구소(CEPR) 선임 이코노미스트는 “철강과 알루미늄에 관세를 붙인다면 이를 사용하는 모든 제품의 가격이 오르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베이커 이코노미스트에 따르면 특수 차량의 경우 약 1000파운드(약 453㎏)의 철이 쓰이며 가격은 6000~7000달러에 이른다. 25% 철강 관세는 미국 내 판매 가격을 1000~1500달러까지 끌어올리게 된다. 도이체방크는 철강·알루미늄 관세만으로 미국의 근원 개인소비지출(PCE) 가격지수가 0.4%포인트 상승할 것으로 봤다. 상호 관세 우려에 커피 원두 가격도 오르면서 미국 내 커피숍 가격도 불안해졌다. 이날 뉴욕 ICE선물거래소에서 커피 선물 가격은 파운드당 4.211달러로 사상 최고치를 썼다.

트럼프 관세발 인플레이션 우려가 커지면서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금리 인하 가능성은 줄고 있다. CME 페드워치툴에 따르면 연내 기준금리 인하 횟수가 한 차례에 그칠 확률(35%)이 가장 높다. 야데니 리서치의 창립자인 에드 야데니는 “현재로서는 올해 금리 인하가 없을 것”이라고 전했다.

 

 

 

출처 : 미주한국일보

Title View
[공지] 취업 전에 안보면 무조건 후회하는 영상
09/03/2024
[공지] Part-time 게시판 공지사항
02/12/2021
\"난 끝나지 않았다\"... 데미 무어, 47년만에 첫 연기상
Talk & Talk
1717
랄프 로렌, 패션 디자이너 최초로 미 \'대통령 자유의 메달\' 받아
Talk & Talk
1254
테슬라가 모든 걸 지켜보고 있었다... \"테러범, 車 잘못 골라\"
Talk & Talk
1183
소매업소 터는 강절도 범죄 뿌리 뽑는다
Talk & Talk
993
21개주 최저임금 인상 1인 연 420달러 올라
Tax & Salary
3013
북한, 가상화폐 13억달러 절취
Talk & Talk
1168
“아마존 창고직원 부상, 업계보다 30% 많아”
Job & Work Life
3119
실업수당 청구, 8개월래 최저
Job & Work Life
1842
“올해도 미국 성장 지속… S&P500 13% 오른다”
Current Economy
1605
바이든, 일본제철의 US스틸 인수 불허
Current Economy
1610
아시아나, 초과수하물 요금인상 철회
Travel & Food
1728
개솔린가격 3년래 최저 “운전자들에 새해 선물”
Current Economy
1679
[뉴욕증시 뜨거웠던 2024년 ‘아듀’… 새해도 기대] 3대 지수 두자릿수 상승… 트럼프 ...
Current Economy
1483
“리얼 ID 취득 서둘러야”
U.S. Life & Tips
1252
우크라, 러시아 가스관 잠갔다... 전쟁 이후 유럽시장 지배 막내려
Current Economy
1210
SPC그룹, 미국에 첫 제빵 공장 세운다
Current Economy
1277
AI 끝판왕 만들어낼 양자컴퓨터, CES에 본격 등장
Talk & Talk
1257
[2025 새해부터 달라지는 가주 법규들] 최저임금 인상… 횡단보도 인근 주차금지 시행
U.S. Life & Tips
1566
복귀할 사무실 없고… 노조는 저항
Job & Work Life
1775
권도형, 결국 미국행…몬테네그로 “신병 美FBI에 넘겨”
Talk & Talk
1366
‘퇴임 후가 더 빛난 美 최장수 대통령’ 지미 카터 100세로 별세
Talk & Talk
1599
내년부터 음식물 쓰레기 함부로 못 버리나
Talk & Talk
1344
모기지 금리 7월 이후 최고치… 하강할까
Current Economy
1658
강한 경제에 트럼프 귀환까지… 달러화, 9년래 최고 상승
Current Economy
1418
취업비자 놓고 트럼프 진영 내홍 심화
Visa,Green Card,Citizenship
1526
환율 1,470원도 돌파… 금융위기 후 16년만에
Current Economy
1950
‘계란=금란’… 올해 가격 46%↑·물가 비상
Travel & Food
1785
복귀할 사무실 없고 노조 저항…트럼프의 공무원 재택 중단 난관
Job & Work Life
1748
2주 이상 실업수당 청구자 3년 만에 최대…191만명
Job & Work Life
1869
CEO 줄사퇴…“주식 팔고 은퇴”
Current Economy
1750
트럼프 관세·추방…GDP 1.1%·일자리 10만개↓
Current Economy
1482
가계 순자산 사상최고…3분기 169조달러 돌파
Current Economy
1650
‘출생 시민권 폐지’ 시행 구체화
Talk & Talk
457
팬데믹 경기부양 지원금 못 받은 100만명에 IRS, 최대 1,400달러 크레딧 지급한다
Tax & Salary
925
‘7대 불가사의’ 스톤헨지 5천년 비밀 풀렸다
Travel & Food
12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