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2 관세 전면전 땐 미국 GDP 4년간 550억달러 증발
By iuixxxx Posted: 2025-02-06 10:15:19

▶ 중, 트럼프 추가관세에 맞불
▶ 보복관세·구글 조사 ‘전방위 압박’

▶ 반도체 소재 텅스텐 수출통제도
▶ 트럼프 “대화할것” 협상 열어놨지만 일각선 대중관세 35%P 인상 전망

 

 

“중국이 미국과의 무역 갈등을 감수하겠다는 분명한 의지를 보였습니다.”

블룸버그통신은 4일 나온 중국의 보복관세 조치 등에 대해 이같이 논평했다. 중국은 이날 보복관세와 미국 거대기술기업(빅테크)에 대한 반독점 조사, 핵심 광물 수출 제한, 세계무역기구(WTO) 제소 등 전 분야를 망라한 조치를 줄줄이 발표했다.

중국은 트럼프 1기 행정부 무역전쟁 때와 마찬가지로 미국의 추가 관세가 발효되자마자 보복관세를 발표했다. 중국 국무원 관세세칙위원회에 따르면 10일부터 미국산 석탄과 액화천연가스(LNG)에 15%, 원유와 대형차량, 픽업트럭, 농업기계에는 10%의 관세가 부과된다. 다만 중국이 미국산 에너지에 대한 의존도가 낮은 만큼 미국에 맞대응하겠다는 신호는 보내면서도 자국 경제에는 피해를 적게 주는 조치를 선택한 것으로 분석된다.


중국은 기업 조사 카드도 꺼냈다. 미국 대표 빅테크 기업인 구글을 상대로 반독점 조사를 펴겠다고 밝혔다. 또 캘빈클라인·토미힐피거 등을 보유한 패션 기업 PVH그룹, 유전체 분석 세계 1위 일루미나 등 주요 기업을 ‘신뢰할 수 없는 업체’ 명단에 올리며 압박하는 모양새를 취했다. 이 명단에 오르면 중국 내 판매 및 활동이 제한되고 중국 투자가 금지되며 벌금이 부과될 수 있다. 블룸버그는 “구글의 경우 2010년 중국에서 철수해 영업 분야가 한정적이기 때문에 이번 조치는 상징적인 것으로 보인다”고 짚었다.

이 외에 중국 상무부는 텅스텐·텔루륨·비스무트·몰리브덴·인듐 등의 수출통제 조치도 발표했다. 텅스텐은 무기·반도체에 필수적인 것으로 중국이 세계 공급의 80% 이상을 차지해 미국이 타격을 입을 것으로 보인다. 미국은 텅스텐의 4분의 1 이상을 중국에 의존해왔으며 다른 주요 공급국은 러시아 등이기 때문에 대안을 찾기 쉽지 않은 상황이다.

중국 상무부는 미국의 10% 대중 추가 관세 조치를 WTO에 제소하겠다고 하면서 “(미국의 이번 조치는) WTO 규정을 심각하게 위반하며 본질적으로 극악무도하다”는 말폭탄까지 날렸다. 그러면서 “미국의 행위는 규칙 기반의 다자간 무역 체계를 심각하게 훼손하고 중국과 미국의 경제 및 무역 협력 기반을 흔들며 글로벌 산업 및 공급망 안정성을 파괴한다”며 규칙 기반의 다자 질서를 설파해온 미국의 논리로 미국을 비판했다.

전문가들은 중국의 이번 조치가 미국의 10% 관세 부과 조치에 가만 있지 않겠다는 입장을 명확히 한 것이라는 해석을 내놓고 있다. 일본 투자은행(IB) 노무라는 미국의 중국에 대한 10% 추가 관세를 두고 “트럼프 대통령 1, 2기를 통틀어 단일 관세정책 발표 기준으로는 최대 폭의 관세 인상”이라고 짚었다. 특히 미국이 중국산 수입품에 ‘최소 기준 면제’를 적용하지 않기로 하며 테무·쉬인 등 중국 쇼핑플랫폼을 정조준한 것이 파괴력이 크다는 진단이다. 미국 정부가 공개한 대중 관세 관련 세부 내용에 따르면 중국산 제품에 대한 10% 추가 관세와 함께 ‘최소 기준 면제’ 철폐가 적시돼 있다. 현재 미국 내 개인이 수입하는 800달러 이하 물품에는 관세가 부과되지 않는데 중국산에는 이 면제 조항을 적용하지 않겠다는 것이다. 이 조항을 이용해 미국 내에서 폭발적으로 성장한 테무·쉬인을 겨냥했다는 평가가 지배적이었다. 특히 테무는 이를 통해 미국 내에서 아마존을 위협해왔다.

한편 주요 2개국(G2) 무역전쟁의 막이 본격 오르면서 글로벌 경제 전반에 거센 폭풍이 밀려들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피터슨국제경제연구소(PIIE)는 미국이 중국에 10% 추가 관세를 부과하고 중국이 같은 방식으로 대응하면 트럼프 2기 행정부 4년간 미국 국내총생산(GDP)가 550억 달러(약 80조 4000억 원) 증발하고 중국은 1280억 달러(약 187조 1000억 원) 감소할 것으로 분석했다. 미국의 물가 상승률은 4년에 걸쳐 0.2%포인트 오르고 중국은 0.3%포인트 상승할 것으로 예상했다. 골드만삭스는 미국의 10% 보편관세가 중국의 올 성장률을 0.5%포인트 낮출 것으로 봤다.

 

 

 

출처 : 미주한국일보

Title View
[공지] 취업 전에 안보면 무조건 후회하는 영상
09/03/2024
[공지] Part-time 게시판 공지사항
02/12/2021
ADP “2월 美 민간고용 7만7천명↑”…전망치 큰 폭 하회
Job & Work Life
673
고용서 물가·주택거래까지… 경제 ‘동시다발 경고음’
Current Economy
344
[관세가 미 경제에 미치는 영향] ‘관세전쟁’ 격화… 맥주·채소·차 가격 다 오른다
Current Economy
151
양회 개막일에 ‘10+10’ 관세폭탄 맞는 중국
Current Economy
289
가주선 19만달러 벌어도 ‘중산층’
Current Economy
275
K-푸드, 품목 다양화로 세계 무대서 ‘훨훨’
Travel & Food
681
트럼프 ‘관세전쟁’ 강행… 오늘부터 25%(캐나다·멕시코) 부과
Current Economy
332
패스트푸드 최저시급 20불로 인상 후 일자리 안줄어
Job & Work Life
549
위기의 구글: 평일엔 재택 말고 사무실 나와 근무하라
Job & Work Life
786
한국 1호 실리콘밸리 유니콘…: 美선 나댈 정도로 자기 소개 훈련부터 하라
Talk & Talk
759
이민자의 나라 미국, 영어가 국어 된다... 트럼프, 행정명령 서명 예정
Talk & Talk
1364
中, 美와 美동맹국과 경제 단절땐 GDP 최대 51% 타격...복원 불능
Current Economy
1282
대한항공, ‘5성 항공사’ 5년연속 선정
Travel & Food
983
치솟는 ‘금란’ 가격 올해 41% 더 상승
Current Economy
1048
물가상승 속 경기침체 ‘S공포’ 신호?
Current Economy
176
양극화 현상 심화… 10%가 소비의 절반 차지
Current Economy
225
“원·달러 환율 안정” 2분기 1,400원 초반
Current Economy
177
실업수당 신청 올해 최다… 공무원 감원 등 여파
Job & Work Life
824
‘에어프레미아’ 미주노선 무더기 결항·지연 사태
Travel & Food
553
커버드 CA 가입자 ‘사상 최대’
Talk & Talk
603
美 10년만에 홍역 사망 발생… ‘백신회의론’ 장관 “드문일 아냐”
Talk & Talk
587
‘고물가’에 지친 미국인들… “팁 안준다”
Talk & Talk
479
美 4분기 성장률 2.3%, 연간 성장률 2.8%…견조한 성장세 유지
Life in U.S.
357
‘공무원 칼바람’에 지난주 신규 실업수당 청구 올해들어 최다
Job & Work Life
972
트럼프, 이번엔 EU에 25% 관세 발표
Current Economy
111
연방정부, 계란값 안정에 10억달러 긴급 투입
Travel & Food
500
미 최대 디자인·건축 박람회 라스베가스 개막
Talk & Talk
119
한인 요식업체 노동법 위반 피소
Job & Work Life
837
트럼프 행정부, 트랜스젠더 선수 비자발급 영구금지 추진
Talk & Talk
541
애플, AI인텔리전스 한국어 지원
Talk & Talk
620
중국 밀어내기식 저가 수출 더는 못 참아
Current Economy
591
라인호텔 ‘디폴트’… 한인 EB-5(투자이민) 투자자들 ‘불안’
Talk & Talk
550
리얼 아이디 지금 받아놓으세요
Talk & Talk
1001
500만달러 내면 영주권 판매… 시민권도 허용
Talk & Talk
397
LA지역 박물관 ‘무료 입장’ 3월16일 하루 30여곳 실시
Travel & Food
6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