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트럼프의 향후 정책과 경제 면밀히 주시할 것”
▶ 인플레 반등 위험 반영
▶ 올해 2차례에 그칠 수도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이 29일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가 종료된 후 기자회견을 통해 금리 동결 배경을 설명하고 있다. [로이터]
29일 연방준비제도(FRB·연준)가 새해 첫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를 마무리하며 시장 예상대로 기준금리를 동결하는 등 올해부터 금리 인하 속도에 신중을 기하겠다는 신호를 명확하게 보냈다. 최근 인플레 둔화세가 연준의 목표 수준에 근접하고 고용 시장과 소비 등 경제도 전반적으로 호조를 보이는 상황에서 연준이 인플레 반등 위험을 감수하고 무리하게 금리인하를 해야 할 필요가 있느냐는 일각의 우려를 반영한 행보로 풀이된다.
이날 FOMC 회의를 앞두고 시장 전문가들은 연준이 기준금리를 동결할 것이라는 데 거의 이견이 없었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이날 강한 경제 상황을 고려할 때 추가 금리 인하를 서두를 필요가 없다고 본다고 밝혔다. 특히 고율 관세 등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예고한 정책의 영향에 대해선 정책이 구체화하기 전까진 경제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알기 어렵다며 판단을 유보한 것이다. 이제 트럼프 2기 행정부가 시작된 만큼 오는 3월 18일과 19일 열리는 FOMC 회의에서는 금리 인하 여부에 대한 더욱 투명한 판단을 할 수 있을 것이라는 뜻이다.
■압박에도 4.25~4.5% 유지
파월 의장은 이날 연준이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를 열어 기준금리를 4.25∼4.50%로 동결한 후 연 기자회견에서 “현 연준의 통화정책 기조는 기존보다 현저히 덜 제한적인 반면 경제는 강한 상황”이라며 “우리는 통화정책 기조 변화를 서두를 필요가 없다”라고 말했다. 그는 오는 3월 금리 인하를 여전히 고려 중이냐는 질문에도 “통화정책 기조 변화를 서두를 필요가 없다”는 메시지를 되풀이해 강조했다.
앞서 연준은 지난해 9월 ‘빅컷’(0.50%포인트 금리인하)을 시작으로 금리인하 사이클을 개시한 뒤 지난해 12월까지 세 차례 연속 인하를 통해 기준금리를 종전보다 총 1%포인트 낮춘 바 있다.
파월 의장은 “현 통화정책 기조가 매우 제한적인 것은 아니지만 의미 있게 제한적인 상황”이라면서 “우리는 인플레이션의 추가 진전이 필요하다”라고 동결 배경을 설명했다.
중립금리 수준에 대해선 정확한 추산이 어렵다고 전제하면서도 현 금리 수준이 중립금리를 의미 있게 상회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중립금리란 인플레이션을 가속하지 않으면서도 고용을 극대화할 수 있는 실질 금리 수준으로, 연준 안팎에선 팬데믹 이후 중립금리 수준이 상승했다는 주장이 제기돼왔다.
현 금리가 중립금리를 의미 있게 웃돈다는 것은 추가 인하 여지가 남았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트럼프 행정부의 정책과 관련해선 “어떤 정책들이 실제로 실행될지 지켜보는 단계”라며 “관세·이민·재정정책, 규제정책과 관련해 어떤 일이 일어날지 아직은 알 수 없는 상황이다”라고 평가했다.
앞서 연준은 12월에는 올해 말 기준금리를 3.9%로 제시, 금리 인하 횟수를 2차례로 조정한 바 있다.
■기업·가계 부담 여전
기준금리가 동결되면서 소비자들은 크레딧카드와 모기지, 자동차 대출 등에서 여전히 높은 이자 부담을 감당해야 한다.
5년 만기 국채 금리 변동의 영향을 받는 자동차 대출 금리는 개인의 신용도, 구매 차종과 가격, 다운페이먼트와 대출 기간 등 여러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결정된다.
모기지 금리는 연준의 기준금리 보다는 10년 만기 국채 금리에 더 큰 영향을 받는다. 현재 7% 밑으로 내려간 30년 만기 고정 모기지는 소폭 인하가 가능하지만 큰 변동이 없을 것으로 예상된다. 2차 모기지인 홈 에쿼티 론과 홈 에쿼티 라인 오브 크레딧 대출은 기준 금리에 직접 영향을 받는다.
기존 연방 학자금 대출자의 금리는 고정 금리여서 이번 기준금리 동결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하지만 신규 대출자의 경우 상대적으로 높은 이자율을 적용받는다. 학부생의 경우 대출금에 대한 금리는 4~5%대로 3년 전만해도 평균 3% 미만이었던 것을 감안하면 높은 수준이다.
이전 고금리 상황에서 저축자들은 CD와 적금 등에서 높은 예금 이자 혜택을 누려왔다. 하지만 정도의 차이만 있을 뿐, 향후 기준 금리 인하 기조가 확실한 만큼 금융 기관이 제공하는 이자도 떨어지기 시작했다. CD나 저축 상품의 경우 이자율이 더 떨어지기 전에 현 이자율로 락인을 하는 것이 권고된다.
출처 : 미주한국일보
|
||||||||||
Title | View |
취업 전에 안보면 무조건 후회하는 영상
|
09/03/2024 |
Part-time 게시판 공지사항
|
02/12/2021 |
소비자들, 고물가 지속 가능 우려
Talk & Talk
|
1651 |
2월 전국 신규 고용 28만건 ‘깜짝 증가’
Job & Work Life
|
2155 |
“아무것도 안 했는데… 수백달러 오른 렌트에 한숨”
Talk & Talk
|
1809 |
애나하임 교육구 교사 100명 일방적 해고 ‘발칵’
Job & Work Life
|
1722 |
한국 휴대전화 없어도 재외국민 본인인증 가능
Talk & Talk
|
1831 |
LA 실업률 5.4%…2년 만에 최고점
Job & Work Life
|
1373 |
16세 자녀 차보험 추가, 연 3212불 더 낸다
Talk & Talk
|
1529 |
메디케어 지원 늘리고 기업·부자들에 증세
Talk & Talk
|
1794 |
뉴욕 맨하탄 필라테스 강사 구인, 교육생 모집
Part Time Jobs
|
505 |
인구대국 급변… “美대학서 인도 유학생이 중국 출신 추월 직전”
College Life
|
258 |
유나이티드항공 왜 이러나…거의 매일 사고 ‘비상’
Travel & Food
|
263 |
스마트 TV용 앱 출시준비…머스크 X, 유튜브와 경쟁
Talk & Talk
|
290 |
크레딧 점수 717점… 11년 만에 하락
Talk & Talk
|
684 |
‘\'초단기 근로자’도 직원 처우 부당”
Job & Work Life
|
434 |
비트코인 사상 첫 7만달러 ‘터치’
Talk & Talk
|
243 |
한때 왕좌였는데… 애플 앞날 ‘첩첩산중’
Talk & Talk
|
2280 |
2월 9만명 해고… 2009년 금융위기 이후 최대
Job & Work Life
|
2274 |
\'AI반도체 거물\' 젠슨 황 \"나는 부모님의 꿈과 야망의 산물\"
Talk & Talk
|
1917 |
尹이 불지핀 \'항공 1마일\' 가치…대한항공 \'9500억 고민\'
Travel & Food
|
2440 |
주택시장 기지개…금리 내리고 매물 늘어
Talk & Talk
|
1951 |
\'오펜하이머\' 오스카 작품상까지 7관왕…놀런, 묵은 한 풀었다
Talk & Talk
|
2160 |
1년 은퇴 생활비 크루즈가 더 저렴
Talk & Talk
|
2379 |
LA서 4인 가구 ‘안락한 삶’에 28만불 필요
Talk & Talk
|
2298 |
초기 이민자 애환 서린 스왑밋이 저문다
Talk & Talk
|
2126 |
“첫 주택 구매자에 1만불 세액 공제”
Talk & Talk
|
2299 |
취업자 늘고 실업률도 상승... 엇갈리는 美 고용시장
Job & Work Life
|
2164 |
계속실업수당 190만건 3개월래 최고치 올라
Job & Work Life
|
1915 |
“더 높게 더 넓게”… 임대 아파트 신축 대형화 추세
Talk & Talk
|
2619 |
전면 디지털 방식 SAT 내일 미국 첫 시험 실시
College Life
|
1819 |
\"바이든, 국정연설서 \'美 위대한 컴백\'·낙태권 입법 언급\"
Talk & Talk
|
1940 |
\"대한항공·아시아나 합병해도 마일리지·요금 철저히 관리\"
Travel & Food
|
1867 |
10일부터 서머타임…새벽 2시를 3시로
Talk & Talk
|
2001 |
美서 2월 8만5천명 해고…2009년 금융위기 이후 월간 기준 최대
Job & Work Life
|
1776 |
비트코인, 사상 첫 7만 달러 돌파 \'최고가 경신\'…1억 찍을까
Talk & Talk
|
1914 |
밀키트 시장으로…K푸드 인기 확산
Travel & Food
|
198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