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준금리 동결 배경·전망] “추가 금리인하 서두를 필요없어… 경제 강해”
By ubkxxxx Posted: 2025-01-30 11:29:40

▶ “트럼프의 향후 정책과 경제 면밀히 주시할 것”

▶ 인플레 반등 위험 반영
▶ 올해 2차례에 그칠 수도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이 29일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가 종료된 후 기자회견을 통해 금리 동결 배경을 설명하고 있다. [로이터]

 

 

29일 연방준비제도(FRB·연준)가 새해 첫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를 마무리하며 시장 예상대로 기준금리를 동결하는 등 올해부터 금리 인하 속도에 신중을 기하겠다는 신호를 명확하게 보냈다. 최근 인플레 둔화세가 연준의 목표 수준에 근접하고 고용 시장과 소비 등 경제도 전반적으로 호조를 보이는 상황에서 연준이 인플레 반등 위험을 감수하고 무리하게 금리인하를 해야 할 필요가 있느냐는 일각의 우려를 반영한 행보로 풀이된다.

이날 FOMC 회의를 앞두고 시장 전문가들은 연준이 기준금리를 동결할 것이라는 데 거의 이견이 없었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이날 강한 경제 상황을 고려할 때 추가 금리 인하를 서두를 필요가 없다고 본다고 밝혔다. 특히 고율 관세 등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예고한 정책의 영향에 대해선 정책이 구체화하기 전까진 경제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알기 어렵다며 판단을 유보한 것이다. 이제 트럼프 2기 행정부가 시작된 만큼 오는 3월 18일과 19일 열리는 FOMC 회의에서는 금리 인하 여부에 대한 더욱 투명한 판단을 할 수 있을 것이라는 뜻이다.


■압박에도 4.25~4.5% 유지

파월 의장은 이날 연준이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를 열어 기준금리를 4.25∼4.50%로 동결한 후 연 기자회견에서 “현 연준의 통화정책 기조는 기존보다 현저히 덜 제한적인 반면 경제는 강한 상황”이라며 “우리는 통화정책 기조 변화를 서두를 필요가 없다”라고 말했다. 그는 오는 3월 금리 인하를 여전히 고려 중이냐는 질문에도 “통화정책 기조 변화를 서두를 필요가 없다”는 메시지를 되풀이해 강조했다.

앞서 연준은 지난해 9월 ‘빅컷’(0.50%포인트 금리인하)을 시작으로 금리인하 사이클을 개시한 뒤 지난해 12월까지 세 차례 연속 인하를 통해 기준금리를 종전보다 총 1%포인트 낮춘 바 있다.

파월 의장은 “현 통화정책 기조가 매우 제한적인 것은 아니지만 의미 있게 제한적인 상황”이라면서 “우리는 인플레이션의 추가 진전이 필요하다”라고 동결 배경을 설명했다.

중립금리 수준에 대해선 정확한 추산이 어렵다고 전제하면서도 현 금리 수준이 중립금리를 의미 있게 상회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중립금리란 인플레이션을 가속하지 않으면서도 고용을 극대화할 수 있는 실질 금리 수준으로, 연준 안팎에선 팬데믹 이후 중립금리 수준이 상승했다는 주장이 제기돼왔다.

현 금리가 중립금리를 의미 있게 웃돈다는 것은 추가 인하 여지가 남았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트럼프 행정부의 정책과 관련해선 “어떤 정책들이 실제로 실행될지 지켜보는 단계”라며 “관세·이민·재정정책, 규제정책과 관련해 어떤 일이 일어날지 아직은 알 수 없는 상황이다”라고 평가했다.

앞서 연준은 12월에는 올해 말 기준금리를 3.9%로 제시, 금리 인하 횟수를 2차례로 조정한 바 있다.

■기업·가계 부담 여전

기준금리가 동결되면서 소비자들은 크레딧카드와 모기지, 자동차 대출 등에서 여전히 높은 이자 부담을 감당해야 한다.

5년 만기 국채 금리 변동의 영향을 받는 자동차 대출 금리는 개인의 신용도, 구매 차종과 가격, 다운페이먼트와 대출 기간 등 여러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결정된다.

모기지 금리는 연준의 기준금리 보다는 10년 만기 국채 금리에 더 큰 영향을 받는다. 현재 7% 밑으로 내려간 30년 만기 고정 모기지는 소폭 인하가 가능하지만 큰 변동이 없을 것으로 예상된다. 2차 모기지인 홈 에쿼티 론과 홈 에쿼티 라인 오브 크레딧 대출은 기준 금리에 직접 영향을 받는다.

기존 연방 학자금 대출자의 금리는 고정 금리여서 이번 기준금리 동결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하지만 신규 대출자의 경우 상대적으로 높은 이자율을 적용받는다. 학부생의 경우 대출금에 대한 금리는 4~5%대로 3년 전만해도 평균 3% 미만이었던 것을 감안하면 높은 수준이다.

이전 고금리 상황에서 저축자들은 CD와 적금 등에서 높은 예금 이자 혜택을 누려왔다. 하지만 정도의 차이만 있을 뿐, 향후 기준 금리 인하 기조가 확실한 만큼 금융 기관이 제공하는 이자도 떨어지기 시작했다. CD나 저축 상품의 경우 이자율이 더 떨어지기 전에 현 이자율로 락인을 하는 것이 권고된다.

 

 

출처 : 미주한국일보

 

Title View
[공지] 취업 전에 안보면 무조건 후회하는 영상
09/03/2024
[공지] Part-time 게시판 공지사항
02/12/2021
LA 도심 프리웨이 유료화하나…여름께 혼잡통행료 부과 연구
Talk & Talk
1839
렌트 컨트롤 아파트 577세대 퇴거통보 ‘파문’
Talk & Talk
4333
연준, 6월 금리 인상 가능성 커져
Talk & Talk
4782
IMF, 미 올해 성장률 1.7%…실업률도 3.8% 최저 수준
Talk & Talk
4227
늘어나는 정리해고…갑작스런 실직 준비는?
Job & Work Life
4474
산불 오죽 많이 났으면…美보험사, 캘리포니아서 손해보험 중단
U.S. Life & Tips
4846
한국정부 외국인 환자 유치 적극
Travel & Food
5237
인력난 허덕이는 경찰 채용기준 완화 고육책
Job & Work Life
5257
‘한인 2세들 족쇄…국적 자동상실제 도입을’
Talk & Talk
1208
미·중 극과극 취업시장…중국 대학생, 요즘 농촌으로 간다
Job & Work Life
8021
가구당 최대 500불…가스 보조금 지급
U.S. Life & Tips
2590
\"현대차·기아, 업그레이드 후에도 미국서 계속 도난 사건\"
Talk & Talk
1302
서류 미비자 시민권 취득 기대감↑
Visa,Green Card,Citizenship
5418
코로나 늦게 풀린 아시아 노선 더 올랐다
Travel & Food
1211
전기차 보급에 정비업계 일감이 없다
Job & Work Life
1072
모기지 체납 소유주…“8만달러까지 무상 지원”
U.S. Life & Tips
4425
“전기·가스 절약하고 세제 혜택도 받으세요”
U.S. Life & Tips
4276
“다시 출근에 지갑 얇아져”하소연
Job & Work Life
5251
실업수당 신청 23만건… 부정수급 단속에‘주춤’
Job & Work Life
4453
미국도 못 피하는‘고령화’
Talk & Talk
4644
\'전국 최고 호텔 톱 10\'...가주 호텔 2개 포함
Travel & Food
4404
美 10명 중 8명 \"AI로 임금 감소 우려되나 근무시간 줄면 감수\"
Job & Work Life
4210
UBS·바클레이스 \"미국 은행 위기 끝났다\"
Talk & Talk
4580
1분기 경제 성장률 1.3%…첫 발표보다 0.2%P 상향
Talk & Talk
4268
美 사상 첫 디폴트 D-7…협상 \"생산적\"·\"진전\" 막판타결 기대감
Talk & Talk
5217
머스크의 뉴럴링크 \"인간 뇌에 칩 이식 임상시험 FDA 승인\"
Talk & Talk
5938
임대보다 주택 구매 싼 곳, 휴스턴 등 전국에서 4곳뿐
Talk & Talk
5028
11월까지 북미에서 이산가족 실태 조사
Talk & Talk
5391
텍사스주도 댈러스에 \'한인타운\' 공식 지정
Talk & Talk
5271
가로등 꺼진 프리웨이, 위험한 밤길…LA카운티 40% 작동불가
Talk & Talk
2190
\"기업 탐욕에 의한 인플레, 침체 막는 데 도움 될 수도\"
Talk & Talk
1625
연휴 LAX 북새통…120만명 이용…팬데믹 이후 최다 이용객 예상
Travel & Food
2423
승객 폭증에 항공 수하물 피해 25% 급증
Travel & Food
1971
北 IT인력 수천명 위장취업...월급 90% 송금, 핵개발 자금으로
Job & Work Life
5492
중소기업 “돈 빌리기 힘들다”
Job & Work Life
53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