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트럼프 2기 출범 후 첫 통화정책회의…작년 3연속 인하 움직임 새해에 중단
▶ 트럼프 이민·관세정책 불확실성에 일단 주시…韓美간 금리차 1.5%p 유지
▶ “인플레 다소 높은 수준”…지난달의 “인플레 목표치 2%에 근접” 표현 빠져
제롬 파월 연준의장[로이터]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올해 첫 통화정책 회의에서 기준 금리를 동결했다.
연준은 29일 이틀간의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를 마무리하면서 기준금리를 기존 4.25∼4.50%로 유지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지난해 9월과 11월, 12월 3차례 연속 이어진 연준의 금리 인하 움직임이 새해 들어 일단 멈추게 됐다.
이번 FOMC 회의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취임 후 처음 열린 것으로, 연준은 트럼프 대통령의 공개적인 금리 인하 압박 요구에도 동결을 택했다.
이는 이번 회의를 앞두고 나온 시장 전문가의 예상과 대체로 일치하는 것으로 최근 인플레이션 둔화세나 당분간 트럼프 2기 행정부 새 정책이 미치는 영향에 대한 평가 필요성 등을 고려한 결정으로 풀이된다.
그동안 경제학자나 시장 전문가 사이에서 남부 국경 봉쇄 및 불법이민자 대규모 추방, 고율 관세 부과 등 트럼프 대통령의 핵심 공약이 오히려 인플레이션에 악영향을 미친다는 분석이 많았기 때문에 연준이 이에 대한 관망 태세를 취한 것으로 보인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이날 금리 동결 후 기자회견에서 "관세·이민·재정정책, 규제와 관련해 어떤 일이 일어날지 아직은 알 수 없는 상황"이라며 "이런 정책들이 경제에 미칠 영향이 어떤지 합리적으로 평가하기 위해서는 구체적인 정책이 무엇인지 뚜렷하게 제시되길 기다려야 할 것이다. 따라서 우리는 상황을 면밀히 주시하고 있다"라고 말했다.
월스트리트저널(WSJ)도 이날 금리 동결에 대해 "새로운 기다려보기(Wait-and-See) 단계에 들어갔다"고 평가했다.
WSJ은 "지난달 회의에서 발표된 (올해) 전망에서 대부분 이사들은 내년에 금리 인하를 예상한다고 밝혔지만, 연준이 몇번이나 금리를 인하할 것인지 확신하지 못했다"고 진단했다.
앞서 연준은 지난해 9월 빅컷(0.5% 금리 인하)을 단행했을 때는 경제전망예측을 통해 올해 말 기준금리(중간값)를 3.4%로 제시하며 올해 4차례 금리를 인하할 것으로 예상했지만, 12월에는 올해 말 기준금리를 3.9%로 제시, 금리 인하 횟수를 2차례로 조정한 바 있다.
연준의 이날 성명도 12월 성명과는 다소 차이가 있었다.
이날 성명에서는 "실업률은 최근 몇 달 동안 낮은 수준에서 안정됐으며, 노동시장 상황은 견조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이는 지난달 회의 후 성명에서 "올해(2024년) 초부터 노동시장 여건이 전반적으로 완화됐고, 실업률은 상승했지만 여전히 낮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라고 평가한 것과 거의 유사한 수준이다.
하지만, 인플레이션에 대해서는 이날 성명에서 "다소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고 연준은 평가했다.
지난달 성명에서 나온 "인플레이션은 위원회의 목표치인 2%에 근접했지만, 여전히 다소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라는 표현에서 일부 달라진 것이다.
연준은 아울러 "고용과 인플레이션 목표 달성에 대한 위험이 대체로 균형을 이루고 있다고 판단한다"며 "경제 전망은 불확실하며, FOMC는 양대 책무(최대 고용·물가 안정)의 양 측면에 대한 위험에 주의를 기울이고 있다"고 덧붙였다.
연준의 이번 결정으로 한국(3.0%)과 미국 간 금리차는 상단 기준으로 1.50%포인트로 유지됐다.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는 지난 16일(한국시간) 열린 새해 첫 통화정책방향 회의에서 높은 원/달러 환율 등을 고려해 기준금리를 동결한 바 있다.
출처 : 미주한국일보
|
||||||||||
Title | View |
취업 전에 안보면 무조건 후회하는 영상
|
09/03/2024 |
Part-time 게시판 공지사항
|
02/12/2021 |
금값, 올 연말에 최소 3,100달러 간다
Current Economy
|
871 |
美 불법입국 적발 4년새 최저치로 떨어져
Talk & Talk
|
818 |
치솟은 임금, 결국 근무시간 줄였다
Job & Work Life
|
736 |
15년 만의 최악 독감… 병원들 ‘북적’
Talk & Talk
|
640 |
첫 주택 구입자 다운페이 9% 불과
Current Economy
|
721 |
사상최고 계란값… 최악의 ‘에그플레이션’
Travel & Food
|
758 |
IRS \"세금보고 \'완벽\'해야 리펀드 빨리 받는다\"
Tax & Salary
|
907 |
NYSE, 텍사스 증권거래소 신설
Current Economy
|
826 |
공무원 7만여명 퇴직신청 목표비율 5∼10%에 미달
Job & Work Life
|
936 |
연준, “물가와의 싸움 길고 멀것”
Current Economy
|
706 |
치솟는 계란 가격… 닭 사육 급증
Talk & Talk
|
713 |
공예품 업체 ‘조앤’ 매장 500개 폐쇄
Current Economy
|
730 |
국가별 비관세 장벽·환율·역외세금 등 고려
Current Economy
|
682 |
전 세계 ‘상호관세’ 무역전쟁 선전포고
Current Economy
|
514 |
종교이민 1년 5개월 ‘뒷걸음질’
Visa,Green Card,Citizenship
|
817 |
거센 강달러… 수익성 악화에 떠는 미기업
Current Economy
|
638 |
신규 실업수당 청구 21만3천건…한주 전 대비 7천건↓
Job & Work Life
|
1181 |
트럼프 관세 확대에 금 ‘고공행진’
Current Economy
|
606 |
1월 물가 3% ‘깜짝 상승’ … 금리인하 ‘희박’
Current Economy
|
614 |
“올해 연준 금리인하 1회 이하” 전망
Current Economy
|
635 |
1월 소비자물가 ‘깜짝 상승’…계란·휘발유값 상승에 3.0%↑
Current Economy
|
951 |
“너무 비싸서 못간다”…(디즈니월드) ‘1인당 1천불’
Travel & Food
|
755 |
미국내 모든 불체자들이 추방된다면… “우유·치즈도 식탁서 사라진다”
Current Economy
|
874 |
트럼프 플라스틱빨대 장려 상징적 환경규제 뒷걸음질
Talk & Talk
|
640 |
‘캐시카우’로 뜨는 화물운송… LCC도 가세
Current Economy
|
714 |
차값 1,500달러 오른다… 미 ‘인플레 부메랑’ 공포
Current Economy
|
476 |
커피가격 연일 사상 최고 작년 70%·올해도 35% 급등
Current Economy
|
479 |
“버틸 힘이 없다” … 작년 LA식당 100여곳 줄폐업
Current Economy
|
337 |
“금값 3,000달러… 1분기 중 도달”
Current Economy
|
976 |
트럼프, 연방정부 공무원 감축 지시… “4명 그만둬야 1명 채용”
Job & Work Life
|
2501 |
美 연준 파월 \"강한 경제, 금리 인하 서두를 필요 없다\"
Current Economy
|
724 |
트럼프 “구조조정 다음 표적, 교육·국방부…머스크에 곧 지시”
Talk & Talk
|
1178 |
‘이미 해고 쓴맛’ 머스크 전 직원들, 美관가 ‘칼바람’ 파국 예측
Job & Work Life
|
1145 |
2월 소비심리지수 하락… 예상 인플레는 급등
Current Economy
|
691 |
불붙은 빅테크 AI 인재 쟁탈전 갈수록 치열
Job & Work Life
|
243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