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트럼프 2기 출범 후 첫 통화정책회의…작년 3연속 인하 움직임 새해에 중단
▶ 트럼프 이민·관세정책 불확실성에 일단 주시…韓美간 금리차 1.5%p 유지
▶ “인플레 다소 높은 수준”…지난달의 “인플레 목표치 2%에 근접” 표현 빠져
제롬 파월 연준의장[로이터]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올해 첫 통화정책 회의에서 기준 금리를 동결했다.
연준은 29일 이틀간의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를 마무리하면서 기준금리를 기존 4.25∼4.50%로 유지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지난해 9월과 11월, 12월 3차례 연속 이어진 연준의 금리 인하 움직임이 새해 들어 일단 멈추게 됐다.
이번 FOMC 회의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취임 후 처음 열린 것으로, 연준은 트럼프 대통령의 공개적인 금리 인하 압박 요구에도 동결을 택했다.
이는 이번 회의를 앞두고 나온 시장 전문가의 예상과 대체로 일치하는 것으로 최근 인플레이션 둔화세나 당분간 트럼프 2기 행정부 새 정책이 미치는 영향에 대한 평가 필요성 등을 고려한 결정으로 풀이된다.
그동안 경제학자나 시장 전문가 사이에서 남부 국경 봉쇄 및 불법이민자 대규모 추방, 고율 관세 부과 등 트럼프 대통령의 핵심 공약이 오히려 인플레이션에 악영향을 미친다는 분석이 많았기 때문에 연준이 이에 대한 관망 태세를 취한 것으로 보인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이날 금리 동결 후 기자회견에서 "관세·이민·재정정책, 규제와 관련해 어떤 일이 일어날지 아직은 알 수 없는 상황"이라며 "이런 정책들이 경제에 미칠 영향이 어떤지 합리적으로 평가하기 위해서는 구체적인 정책이 무엇인지 뚜렷하게 제시되길 기다려야 할 것이다. 따라서 우리는 상황을 면밀히 주시하고 있다"라고 말했다.
월스트리트저널(WSJ)도 이날 금리 동결에 대해 "새로운 기다려보기(Wait-and-See) 단계에 들어갔다"고 평가했다.
WSJ은 "지난달 회의에서 발표된 (올해) 전망에서 대부분 이사들은 내년에 금리 인하를 예상한다고 밝혔지만, 연준이 몇번이나 금리를 인하할 것인지 확신하지 못했다"고 진단했다.
앞서 연준은 지난해 9월 빅컷(0.5% 금리 인하)을 단행했을 때는 경제전망예측을 통해 올해 말 기준금리(중간값)를 3.4%로 제시하며 올해 4차례 금리를 인하할 것으로 예상했지만, 12월에는 올해 말 기준금리를 3.9%로 제시, 금리 인하 횟수를 2차례로 조정한 바 있다.
연준의 이날 성명도 12월 성명과는 다소 차이가 있었다.
이날 성명에서는 "실업률은 최근 몇 달 동안 낮은 수준에서 안정됐으며, 노동시장 상황은 견조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이는 지난달 회의 후 성명에서 "올해(2024년) 초부터 노동시장 여건이 전반적으로 완화됐고, 실업률은 상승했지만 여전히 낮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라고 평가한 것과 거의 유사한 수준이다.
하지만, 인플레이션에 대해서는 이날 성명에서 "다소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고 연준은 평가했다.
지난달 성명에서 나온 "인플레이션은 위원회의 목표치인 2%에 근접했지만, 여전히 다소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라는 표현에서 일부 달라진 것이다.
연준은 아울러 "고용과 인플레이션 목표 달성에 대한 위험이 대체로 균형을 이루고 있다고 판단한다"며 "경제 전망은 불확실하며, FOMC는 양대 책무(최대 고용·물가 안정)의 양 측면에 대한 위험에 주의를 기울이고 있다"고 덧붙였다.
연준의 이번 결정으로 한국(3.0%)과 미국 간 금리차는 상단 기준으로 1.50%포인트로 유지됐다.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는 지난 16일(한국시간) 열린 새해 첫 통화정책방향 회의에서 높은 원/달러 환율 등을 고려해 기준금리를 동결한 바 있다.
출처 : 미주한국일보
|
||||||||||
Title | View |
취업 전에 안보면 무조건 후회하는 영상
|
09/03/2024 |
Part-time 게시판 공지사항
|
02/12/2021 |
가주 개솔린세 폐지되나… ‘도로통행료\' 검토
Talk & Talk
|
293 |
3분의1 ‘실직 불안’ 젊은층은 생계 걱정
Job & Work Life
|
499 |
뉴욕 연은 총재 “장기 인플레 기대 안정…물가 충격 감소 기대”
Current Economy
|
437 |
아프리카 백인 여성이 올림픽 이끈다... IOC 역사상 처음
Talk & Talk
|
461 |
美 특허만료 블록버스터 쏟아져… K바이오, 38조 시장 도전
Talk & Talk
|
443 |
\"내 노래가 6년 먼저\" 주장… 머라이어 캐리 캐럴 표절 소송 결말은
Talk & Talk
|
414 |
세계 2위 英히스로 공항, 정전으로 전면 폐쇄...수십만명 대혼란
Travel & Food
|
411 |
핸드폰, SNS까지 뒤진다…美입국금지 급증에 여행객 불안감 커져
Talk & Talk
|
271 |
‘가장 행복한 국가’… 핀란드 8년째 1위
Talk & Talk
|
260 |
“연방 교육부 해체하라” 트럼프 행정명령 서명
Talk & Talk
|
269 |
합법비자 소유 학자 또 이민당국에 체포
Talk & Talk
|
265 |
“IRS, 불체 납세자 정보 이민당국에 넘긴다”
Visa,Green Card,Citizenship
|
439 |
휴대폰에 트럼프 비판문자 있다고…佛과학자 美 입국 거부당해
Talk & Talk
|
293 |
캘리포니아 관광청 봄 여행캠페인 시작
Travel & Food
|
384 |
대서양 술 전쟁… 와인·위스키가 최전선에
Current Economy
|
73 |
주간 신규 실업수당 청구 22만3천건…전망 소폭 하회
Job & Work Life
|
480 |
\'입국금지\' 유승준, 세 번째 비자 재판...법무부 \"입국금지 계속 필요\"
Talk & Talk
|
70 |
미주·유럽 노선 최저 50만원… \"항공권 반값에 팝니다\"
Travel & Food
|
168 |
아시아나, 美 노선 \'마일리지 전용기\' 띄운다… 20일부터 예약 시작
Travel & Food
|
51 |
네이비실→하버드 의대→우주비행사… 한국계 조니 김, 첫 우주비행 앞둔 소감은
Talk & Talk
|
49 |
과다지급된 소셜 연금 100% 일괄 환수한다
Talk & Talk
|
110 |
연준, 금리 4.25~4.50%로 동결…연내 2차례 금리인하 시사
Current Economy
|
118 |
테슬라 ‘초소형 하우스’ 출시… 가격 7,575달러
Talk & Talk
|
231 |
‘헤즈볼라 장례식 참석’ CBP “여교수 추방 이유”
Talk & Talk
|
138 |
가주 고용시장 ‘먹구름’… 실업률 전국 최고
Job & Work Life
|
490 |
화재 피해자 위한 할리우드보울 무료 연주회
Talk & Talk
|
169 |
요세미티 캠핑장 예약 내주 재개
Travel & Food
|
85 |
달 지평선 너머로 떨어지는 태양... NASA, 달 일몰 고화질 사진 공개
Talk & Talk
|
140 |
프랑스 파리 왕복 59만원…아시아나, \'땡처리\' 항공권 푼 이유
Travel & Food
|
85 |
뉴욕 경매 나온 조선 백자 달항아리, 41억원에 낙찰
Talk & Talk
|
47 |
유제품 가격, 2년래 최고 치즈·우유 값 등 ‘들썩’
Current Economy
|
194 |
‘에그플레이션’에 미국으로 수입되는 한국 달걀
Travel & Food
|
125 |
금값 어디까지 오르나…온스당 3천200달러 전망도
Current Economy
|
125 |
취업비자(H-1B) 소지 명문대 교수도 공항서 ‘강제추방’
Visa,Green Card,Citizenship
|
353 |
북한, 비트코인 보유량 전세계 3위
Talk & Talk
|
8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