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비용 ‘딥시크’ 출현 충격… AI(인공지능) 패권전쟁 본격
By vuxxxxx Posted: 2025-01-28 10:58:07

▶ 미ㆍ중, 글로벌 AI 패권 놓고 ‘총성 없는 전쟁’
▶ 출시 일주일, 챗GPT 제쳐

▶ 실리콘밸리 충격 휩싸여
▶ 엔비디아·브로드컴 17%↓
▶ 지속 가능성, 더 지켜봐야

 

중국 인공지능(AI) 스타트업 딥시크가 챗GPT에 필적하는 AI모델을 개발하면서 실리콘밸리 빅테크 업체들이 충격에 휩싸였다. 중국 AI 스타트업 딥시크 로고. [로이터]

 

 

중국의 인공지능(AI) 스타트업인 딥시크(DeepSeek)가 최근 내놓은 AI 모델이 오픈AI의 챗GPT를 제치고 미국에서 애플 앱스토어 다운로드 1위에 올랐다는 소식에 실리콘밸리가 충격에 휩싸였다. 미국과 중국이 글로벌 AI 패권을 놓고 총성 없는 전쟁을 벌이고 있는 가운데 딥시크가 최신형 칩을 사용하지 않고 저비용으로 챗GPT와 비슷한 성능을 내는 생성형 AI 서비스를 출시한 것에 미국 빅테크의 선도적인 지위가 흔들리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고 있는 것이다. 본보는 딥시크가 실리콘밸리 빅테크 기업들의 주가에 미친 충격파와 파급력, 그리고 지속 가능성 등에 대해 돌아봤다.

27일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딥시크의 AI어시스턴트는 이날 미국의 애플 앱스토어 무료 앱 다운로드 순위에서 챗GPT를 2위로 밀어내고 1위에 올랐다. 이는 지난 20일 딥시크가 추론 AI모델인 딥시크-RI 시리즈를 출시한 지 일주일 만이다. 앞서 이 회사가 출시한 딥시크-V3를 발전시킨 딥시크-R1은 일부 성능 테스트에서 챗GPT 개발사 오픈AI가 지난해 9월 출시한 추론 AI 모델 ‘o1’보다 앞선 것으로 평가받은 바 있는데, 이번에 앱 다운로드를 통해 소비자들의 선호가 극명하게 드러난 것이다.

실리콘밸리의 유명 벤처 투자자인 마크 앤드레슨은 “AI의 스푸트니크 순간”이라며 “딥시크 RI은 내가 본 것 중 가장 놀랍고 인상적인 혁신 중 하나이며 오픈 소스로서 세상에 큰 선물”이라고 말했다. 딥시크가 지난 1950년대 후반 우주 경쟁의 시작을 알린 구소련의 위성 발사와 맞먹는 혁신 기술이라는 점을 강조한 것이다.


▲시장, 빅테크 주식 ‘패닉셀’

시장은 민감하게 반응했다. 뉴욕증시에서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612.47포인트(-3.07%) 급락한 19,341.83에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88.96포인트(-1.46%) 하락한 6,012.28에,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289.33포인트(+0.65%) 오른 44,713.57에 각각 거래됐다.

지난 2년간 미 증시 강세장을 주도해온 AI 관련 주도 종목들은 직격탄을 맞았다. AI 칩 분야 대장주인 엔비디아는 전 거래일 대비 16.97%나 폭락했고, 브로드컴(-17.40%), AMD(-6.37%), ASML(-5.75%), 구글의 모기업 알파벳(-4.03%), 마이크로소프트(-2.14%) 등도 낙폭이 컸다.

▲저비용 구조로 시장 잠식 우려

금융시장을 비롯한 테크 전문가들이 딥시크의 AI 모델 출시에 이토록 민감하게 반응하는 이유는 그동안 AI에 수천억달러를 투자했던 미국 빅테크들의 성과가 물거품이 될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이다. 딥시크는 지난달 말 딥시크-V3가 미국의 대중국 수출규제에 걸리지 않도록 엔비디아에서 따로 만든 저사양 칩을 사용하고, 훈련 비용도 600만달러 이하로 메타 등 미국 빅테크 기업의 최신 AI 모델 훈련에 사용된 비용의 10분의 1 수준이었다고 밝혔다.

AI 개발은 엄청난 투자가 필요한 자본 집약적인 사업인데, 중국 항저우에 본사를 둔 작은 스타트업이 빅테크에 필적하는 AI 모델을 만들어 냈다는 게 충격파를 던지고 있는 것이다.

메타는 올해 AI 개발에 650억달러 이상을 지출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으며, 지난해 오픈AI의 최고경영자(CEO) 샘 올트만은 “데이터 센터에 전력을 공급하는 데 필요한 칩 개발을 지원하기 위해 수조달러의 투자가 필요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더구나 AI 운용은 엄청난 전력이 필요하다. 빅테크 회사들이 AI 모델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원자력 발전 회사를 앞다퉈 인수하고 있는 것도 이 같은 이유 때문이다.


전문가들이 충격을 받은 또 다른 이유는 미 정부의 대중국 AI 규제가 효과를 발휘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지난 2022년 10월 미 연방정부는 고성능 GPU(그래픽 처리 장치)와 반도체 제조 장비의 중국 수출을 차단하는 조치를 발표했으며, 조 바이든 전 대통령은 퇴임 일주일 전 중국이 첨단 기술에 접근하는 것을 막기 위해 AI 컴퓨터 칩에 대한 수출 제한을 두 배로 강화하기도 했다.

▲지속 가능성엔 의문부호

시장 전문가들은 딥시크 AI 모델이 가진 파괴력을 인정하면서도 이번 업적 만으로 미국 빅테크들의 아성을 무너뜨리는 것은 충분하지 않을 수 있다고 전망한다. 대형 금융회사 트루이스트의 애널리스트인 케이스 러너는 “딥시크 모델 출시로 투자자들은 미국 기업이 AI 전쟁에서 얼마나 비용이 지출되고 있는지 그 지출이 수익으로 이어질 수 있는지 여부에 의문을 품게 됐다”며 “하지만 궁극적으로 AI 데이터 등에서 필요한 지출이 상당할 것이고 미국 기업이 여전히 선두를 유지할 것이라는 것에 이견이 없다”고 말했다.

CNN은 “시장의 혼란은 상대적으로 알려지지 않은 회사의 진실성에 달려 있다”며 “이 회사는 AI 모델을 훈련하는 데 드는 비용을 제시하지 않았고, 저렴할 수 없는 연구개발 비용도 밝히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또 딥시크의 RI가 영어와 중국어 모두에서 뛰어난 이중 언어능력을 자랑하지만, 정치적으로 민감한 중국 관련 주제에 대해서는 제한적인 답변을 내놓고 있는 것도 소비자들에게 외면을 받을 수 있는 요소로 꼽힌다.

 

 

출처 : 미주한국일보

 

Title View
[공지] 취업 전에 안보면 무조건 후회하는 영상
09/03/2024
[공지] Part-time 게시판 공지사항
02/12/2021
200개 넘는 기업들, 연례보고서에 DEI 삭제
Job & Work Life
375
고교생들이 꼽은 최고 드림스쿨은 \'MIT\'
College Life
75
\'포에버21\' 미국내 매장 모두 사라진다
Talk & Talk
66
재택근무자 홈오피스 비용 공제 못해
Tax & Salary
478
스테이트팜 보험료 결국 22% 오른다
Talk & Talk
129
가족이민 3순위 9개월 급진전
Visa,Green Card,Citizenship
339
“연구실 방 빼”… ‘트럼프 광풍’에 짐싸는 유학생들
College Life
99
신규 실업수당 청구 22만건… 전망 하회
Job & Work Life
356
트럼프 관세 정책과 시장 변동성 우려에 지갑 닫는 美 소비자
Current Economy
111
\"책상도 없는데 출근 강요\" 재택근무 금지에 美공무원들 분노
Job & Work Life
281
美 최고 명문 하버드, 중산층 겨냥 지원 대폭 늘린다
College Life
140
“AI로 전력 수요 200배 증가”… 비상사태 선언한 美
Current Economy
109
기아 美법인 \"여기서 가능한 한 많은 車 만들 것\"
Current Economy
56
\"3년 내 AI에 밀려날 것\"… 인력 감축 1위 전망 나온 이 직종
Job & Work Life
323
기름값 낮춰 인플레 완화… 감세로 기업 부담 감소
Current Economy
348
고금리·재고부족까지… 주택시장 ‘겹악재’
Current Economy
600
금값, 3,000달러 눈앞 수요에 올해 14% 상승
Current Economy
562
트럼프 경제 정책에 미국인들 ‘실망’… “저물가·성장 장담 어디갔나?”
Current Economy
574
‘헉!’… 사립대 1년 학비 10만불 시대
College Life
699
외국인 등록 의무화 “위반시 벌금·징역형”
Talk & Talk
287
DACA 수혜자, 오바마케어 가입 못한다
Talk & Talk
408
달러 사용 늘리고 국채수요 확대… 미 패권 유지 노림수
Current Economy
376
주간 신규 실업수당 청구 22만건…전망 소폭 하회
Job & Work Life
646
2월 도매물가, 계란값 급등 불구 전월대비 보합
Current Economy
429
과실 교통사고 시 보험료 최소 45%↑
U.S. Life & Tips
350
트럼프, 불법이민자 추방 위해 ‘적성국 국민법’ 곧 발동할듯
Talk & Talk
413
법원, 트럼프 정부에 ‘해고된 연방기관 수습 직원 복직’ 명령
Job & Work Life
654
결항 ·지연 밥먹듯...에어프레미아 왜?
Travel & Food
171
K조선의 힘으로 다시 태어났다... 美 군함, 수리 6개월만에 바다로
Talk & Talk
83
중국 농산물·캐나다 전력… 미국 급소만 골라 찔렀다
Current Economy
102
“가방 체크인 더 이상 공짜 아닙니다”…사우스웨스트,‘무료 수하물’ 폐지
Travel & Food
161
[대한항공 새 ‘CI’ 공개] 디자인·기내식까지 다 바꿨다… ‘통합 대한항공’ 새 날개
Travel & Food
141
“재산세 못 견디겠다”… 은퇴자들 뉴욕 등 탈출 러시
Talk & Talk
366
미 구인 시장은 여전히 뜨거워
Job & Work Life
582
美철강관세 강행·전세계 반발…트럼프발 글로벌무역전쟁 가열
Current Economy
3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