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월의 선택은?… 트럼프 금리인하 압박 ‘고민’
By ssrxxxx Posted: 2025-01-27 11:08:13

▶ 연준, 이번 주 금리 결정

▶ “의장 독립성 의지 강해 대통령 권한 제한적이다”
▶ 시장, 동결 전망 압도적

 

 

제롬 파월 연준 의장 [로이터]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23일 연방준비제도(FRB·연준)를 비롯해 각국 중앙은행에 금리 인하를 촉구했지만 정작 채권 시장의 반응은 잠잠한 분위기를 나타냈다.

중앙은행의 독립성을 흔든다는 우려에도 불구하고 트럼프 대통령의 금리 인하 압박 발언이 이날 새로 나온 게 아닌 데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이 독립성 의지를 강하게 고수하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세계경제포럼(WEF) 화상 연설에서 “난 사우디아라비아와 석유수출국기구(OPEC)에 유가를 내리라고 요청하겠다”고 말했다. 또 “유가가 떨어지면서 난 금리를 즉시 내리라고 요구하겠다. 마찬가지로 전 세계에서 금리가 내려야 한다. 우리를 따라 내려야 한다”고 강조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이 같은 발언에 채권 시장은 이날 의미 있는 반응을 보이지 않았다. 글로벌 채권의 벤치마크인 10년 만기 미 국채 수익률은 이날 뉴욕증시 마감 무렵 4.65%로, 하루 전 같은 시간 대비 4bp(1bp=0.01%포인트) 올랐다. 트럼프 대통령의 이날 발언에 따른 직접적인 영향은 제한적이었다.

금리 선물시장 반응도 무덤덤했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금리 선물시장은 오는 29일 연준이 기준금리를 동결할 확률을 99.5%로 반영했다. 이는 전날보다 0.6%포인트 오른 수치다.

올해 금리 인하 횟수 기대도 큰 변동은 없었다. 연준이 올해 말까지 기준금리를 1회 인하할 확률은 33%로 반영, 하루 전(35%)보다 소폭 낮아지는 데 그쳤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대선 기간에도 중앙은행의 독립성을 흔드는 발언을 여러 차례 내놨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해 8월 기자회견에서 “대통령이 최소한 거기(연준)서 발언권을 가져야 한다고 생각한다”라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1기 재임 때도 독립성을 흔드는 발언을 해왔다. 트럼프 대통령은 2017년 자신이 파월 의장을 연준 의장으로 임명했으면서도 재임 기간 지속해서 그가 정책 결정 시점을 제대로 잡지 못한다고 비판했다. 팬데믹 이후 연준이 금리 인상에 나섰을 땐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연준 결정에 동의하지 않는다는 글을 자주 게시하기도 했다.

전 세계 주요 국가들은 중앙은행의 독립성 보장을 원칙으로 하거나, 이를 관행으로 지키고 있다는 점에서 트럼프 대통령의 이 같은 발언은 곧바로 논란을 불러일으키기도 했다.

그러나 파월 의장이 연준의 독립성 유지에 강한 의지를 보이는 상황에서 트럼프 대통령의 연준에 대한 영향력은 제한적일 것으로 월가는 보고 있다. 파월 의장은 트럼프 대통령 당선 직후인 지난해 11월 FOMC 회견에서 트럼프 당선인이 사퇴를 요구할 경우 그만둘 것이냐는 기자 질의에 “안 하겠다”라고 짧게 답했다.

대통령이 파월 의장을 포함한 연준 이사진을 해임하거나 강등시킬 법적 권한이 있느냐는 질의에는 “법적으로 허용되지 않는다”며 독립성 의지를 강하게 드러낸 바 있다. 파월 의장의 임기는 2026년 5월까지다.

투자전문지 배런스는 이날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에 대해 “이런 압박성 발언이 금리를 낮추는 데는 그다지 효과가 없을 전망”이라며 “대통령이 연준 인사들을 압박하거나 교체할 수 있는 권한은 제한적이기 때문”이라고 평가했다.

자산운용사 핌코의 최고투자책임자 댄 이바신은 “연준이 데이터 전면이나 (트럼프 대통령의) 정책 전면에 대한 명확성이 더 있을 때까지“금리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것으로 예상했다. 또 “도입되는 많은 정책이 장기적으로 성장과 생산성에 매우 긍정적일 수 있다”면서도 “장기적으로는 타당하지만 단기적으로는 일부 압박을 초래할 수 있는 것들 사이에 긴장이 있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인플레이션 관점에서 볼 때 우리는 아직 숲에서 벗어나지 못했다”고 했다. 그는 주식 평가가 높아졌으며 미 국채 수익률이 추가 상승하면 주식시장을 강타할 수 있다고 봤다.

 

 

출처 : 미주한국일보

 

Title View
[공지] 취업 전에 안보면 무조건 후회하는 영상
09/03/2024
[공지] Part-time 게시판 공지사항
02/12/2021
CJ 생산 냉동만두서 이물질 ‘리콜’
Travel & Food
1394
美주식에 금, 비트코인까지…\'코로나 고점\' 뚫고 신고가 랠리
Talk & Talk
1811
못 받은 팬데믹 지원금 신청 5월 만료…5월 17일 세금 보고해야
Talk & Talk
1892
카드 연체료 8달러로 제한…\'정크 수수료와 전쟁\' 일환
Talk & Talk
1082
10일부터 국적항공사 출도착 시간 조정
Travel & Food
2381
델타항공 국내선·국제선, 수하물 수수료 5불 인상
Travel & Food
2613
가주 올봄 야생화 만개 \'수퍼블룸\'…기록적 폭우에 \"장관 이룰 것\"
Travel & Food
1811
\'와이파이 해킹\' 빈집털이 주의보…CCTV·경보 시스템 비활성화
Talk & Talk
1331
에너지 업계 “이젠 지열 발전”
Talk & Talk
517
우버, 미성년 단독승차 서비스 가주서 실시
Talk & Talk
527
전국 보다 높은 실업률…‘경제 1번지’ 가주 흔들
Job & Work Life
388
뒤집힌 텍사스 ‘불체자 체포법’… 항소심선 허용
Talk & Talk
341
한미 항공여행객 작년 사상 최다… 펜데믹 이전 회복
Travel & Food
2293
봄방학 앞두고 멕시코 여행 주의보
Travel & Food
2471
고물가에 보육비 상승, 부모들 이중고
Talk & Talk
1499
[세금보고 점검 사항] 서류 잘 챙기고 실수 없어야…철자·숫자 주의
Tax & Salary
2416
[올해 바뀐 세법] 표준 공제, 독신 900불·부부 1800불 인상
Tax & Salary
2615
비트코인 28개월만에 사상 최고가…6만9천300달러 찍고 급락
Talk & Talk
1515
[무료 세금보고] IRS, 연소득 7만9000불 이하면 무료 서비스
Tax & Salary
7405
인스타 돌연 오류…페북까지 갑자기 로그아웃 접속장애
Talk & Talk
2621
LA 51불, 호텔 주차비 급등…차 없어도 부과
Travel & Food
2563
한인들의 한표, 최초 만든다
Talk & Talk
2854
가주 전기차 판매 의무화 ‘비현실적’
Talk & Talk
974
국가채무 ‘눈덩이’… 100일에 1조달러씩 증가
Talk & Talk
561
“업주들 울리는 PAGA(노동법 집단 공익소송) 없애자”… 주민발의안 주목
Job & Work Life
905
코로나 확진자 격리지침 공식 완화
Live Updates (COVID-19, etc.)
1304
이번엔 카마로…키 복제 차량절도 급증
Talk & Talk
1939
값싼 이주민 노동자에 중독된 선진국…\"장기적으론 독일 수도\"
Job & Work Life
1618
작년 추방된 한인 불체자 54명…이민법 체포건 두배 급증
Talk & Talk
1238
IRS, 고소득 미신고자 집중 단속
Tax & Salary
1863
이번 주말 서머타임 시작
Talk & Talk
1335
수퍼화요일 D-1…대선 후보 내일 결정
Talk & Talk
1489
무보험 주택, 모기지업체가 강제보험 가입
Talk & Talk
2558
뱅크오브호프, 한미은행 지점 통폐합
Talk & Talk
1809
美대법원, 트럼프 출마 자격 유지…대선 장애물 제거
Talk & Talk
12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