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세폭탄·동맹 겁박·공급망 와해… ‘게임의 룰’ 바뀐다
By kpgxxxx Posted: 2025-01-21 09:17:05

▶ 더 세진 트럼피즘
▶ 관세 평균 17% 100년래 최고

▶ 생산기지 놓고 한국 기업 부담
▶ 동맹 여부 떠나 미 이익만 고려

 

 

20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의 취임은 글로벌 지형에서 미국의 위치를 ‘세계의 경찰’ ‘세계로의 민주주의 확산자’에서 ‘미국만 잘 살면 된다’는 실용주의 관점으로 이동시키는 신호탄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트럼프가 “취임 첫날만큼은 독재자가 되겠다”고 공언한 만큼 이날 하루에만 100개의 행정명령을 쏟아내며 글로벌 질서를 순식간에 뒤집을 것으로 관측된다.

우선 경제·통상 분야에서는 1995년 자유무역을 내걸고 출범한 세계무역기구(WTO) 체제가 30년 만에 붕괴하고 보호무역주의 시대가 도래할 것으로 예상된다. 미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의 데이비드 넬슨 펠로는 “트럼프가 WTO 규칙을 무시하거나 심지어는 공식적으로 WTO에서 탈퇴할 수도 있다”고 봤다. 트럼프가 노골적인 보호무역주의로 이미 유명무실해진 WTO의 종말에 쐐기를 박을 수 있다는 것이다.

트럼프는 취임 첫날 혹은 100일 안에 국제비상경제권한법(IEEPA)에 근거해 전 세계를 상대로 10~20%의 보편관세를 매기고 멕시코와 캐나다에는 25%, 중국에는 최대 60%의 관세 폭탄을 떨어뜨릴 수 있다. 미 세금 조사 단체 택스파운데이션은 20%의 보편관세와 중국에 대한 60%의 관세가 부과될 경우 미국의 평균 관세율이 17.7%로 치솟을 것으로 예상했다. 1933년 스무트 홀리 관세로 미국의 관세율이 20%까지 급등한 후 한 세기 만에 ‘고관세의 시대’로 치닫는 것이다. 현재로서는 트럼프의 관세 정책이 협상용이라는 관측에 무게가 실리지만 일정 부분 관세 상승은 불가피하다는 전망이 지배적이다. 미국은 3억 명이 넘는 인구에 1인당 국민소득이 8만 달러에 가까운 거대 소비 시장이지만 평균 관세율이 3%에 불과하다. 트럼프는 거대 시장에 대한 전 세계의 통행세(관세)를 높여 자국 시장을 지키고 동시에 세수도 확보하겠다는 노림수다.


특히 트럼프의 멕시코·캐나다에 대한 25% 관세는 1994년 북미자유무역협정(NAFTA) 발효 후 구축돼온 북미 공급망을 30년 만에 무너뜨린다는 점에서 파장이 적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한국 기업 역시 미중 갈등에 가전·자동차·철강 등의 생산기지를 중국에서 미국과 가까운 멕시코 및 캐나다로 이전했지만 향후 고관세가 부과될 경우 높은 비용이 예상된다. 생산기지를 동남아시아 등 다른 곳으로 옮기는 데도 최소 6개월 이상이 소요된다. 더구나 트럼프의 관세 타깃이 앞으로 얼마나 늘어날지 예단할 수 없는 만큼 생산기지 이전 자체가 리스크가 클 수밖에 없다.

보호무역주의 시대의 도래로 전 세계가 각자도생하면서 무역 전쟁이 발발할 가능성도 적지 않다는 지적이다. 실제 캐나다 에너지·천연자원부 장관인 조너선 윌킨슨은 최근 “미국은 원유·우라늄 및 기타 중요한 광물에 대해 캐나다 외에 손쉬운 대안이 없다”며 “미국에 대한 무역 보복과 관련해 아무것도 배제하지 않는다”고 경고했다. 중국 역시 미 국채를 투매하거나 희토류 수출 금지 정책을 강화하는 등 정면 대응에 나설 태세다.

안보 측면에서도 ‘게임의 룰’을 파괴하는 경향은 더욱 짙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트럼프는 최근 그린란드와 파나마운하 통제권을 확보하기 위해 무력 사용도 배제하지 않겠다고 했다. 그린란드는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의 일원인 덴마크령이고 파나마는 미국의 오랜 동맹이다. 미국의 이익을 위해서는 동맹도 상관없다는 ‘트럼프식 동맹관’을 노골적으로 드러낸 셈이다. 미국의 오랜 동맹이지만 트럼프가 평소 방위비 분담금을 적게 낸다고 말해온 우리나라 역시 언제든 타깃이 될 수 있다.

에너지·환경 부문에서도 일대 전환이 예상된다. 트럼프는 취임 첫날 파리기후협정에서 탈퇴하고 조 바이든 대통령이 최근 내린 미국 연안 신규 원유·천연가스 시추 금지령을 다시 뒤집는 한편 전기차 의무화 정책 또한 폐기할 것으로 점쳐진다. 그동안 글로벌 기업뿐만 아니라 우리나라 기업들도 2050년까지 탄소 배출량을 ‘0’으로 만드는 넷제로(탄소 중립) 정책을 수립했지만 새로운 환경에 적응해야 하는 상황이 됐다. 이미 JP모건 등 미국 대형 은행 6곳은 2050년 넷제로를 목표로 하는 글로벌 은행 연합체(넷제로은행연합·NZBA)에서 탈퇴하며 새로운 흐름에 동참하고 있다.

 

 

출처 : 미주한국일보

Title View
[공지] 취업 전에 안보면 무조건 후회하는 영상
09/03/2024
[공지] Part-time 게시판 공지사항
02/12/2021
가주 농장 복숭아 등 리스테리아 감염 리콜…HMC 팜스에서 생산 제품
Live Updates (COVID-19, etc.)
3791
근로자 60%, 한 달 벌어 한 달 생활…오른 임금 인플레 못따라가
Talk & Talk
4131
\'퇴거 대란 시작\'…법원 명령서 발부 20% 급등
Talk & Talk
3540
경기 위축에 은행업계 ‘빅4’ 쏠림 심해져
Talk & Talk
1497
파나마운하 통행량 감축… 연말 ‘화물대란’ 오나
Talk & Talk
973
차량도난 한달새 무려 2,400건
Talk & Talk
1247
바이든·트럼프 둘다 아니었다…\'美대선 족집게\' 이 곳의 분노
Talk & Talk
4142
재외동포 웰컴센터 내년 6월 송도 개관
Talk & Talk
4326
노동참여·생산성 향상이 인플레 억제
Talk & Talk
4635
타깃, 상품 10개 넘으면 셀프계산 금지
Talk & Talk
2918
물가급등에 중산층도 이걸로 끼니…\"전세계 라면 소비 급증\"
Travel & Food
4276
타운업소, 추수감사절 파격 세일 나섰다
Talk & Talk
3496
추수감사절 연휴…LAX 250만명 몰린다
Travel & Food
3865
\"MS가 쿠데타 일으켰다\"…전세계 AI 대격변
Talk & Talk
3435
코로나 자가검사 키트 다시 무료 배포
Live Updates (COVID-19, etc.)
3501
성인 57% “식당 팁, 15% 이하 준다”
Talk & Talk
3483
소비둔화 걱정… 유통업체들 대대적 할인 나서
Talk & Talk
1244
“먹고 살기 힘든데… 이젠 전기요금마저 너무 올라”
Talk & Talk
922
직원 사무실 출근 압박 앞장서는 아마존
Job & Work Life
5472
노조결성 움직임 확대… ‘4대 은행’ 웰스파고서도 투표 추진
Job & Work Life
1883
\'반도체 질서\' 흔들린다…\"세계 거물들도 韓기업 짠 판에서 설계\"
Talk & Talk
1576
추수감사절 개스값 급락 전망…2020년 이후 최저 수준
Talk & Talk
4773
\'불운 징크스\' 50달러권 지난해 발행량 40년 만에 최대
Talk & Talk
1603
불 탄 차에서 멀쩡한 텀블러, 이 영상 공개한 여성에 온 행운
Talk & Talk
4665
[추수감사절 문 여는 업소] 홀푸드·랄프 단축 영업…한인마켓은 정상 운영
U.S. Life & Tips
3904
美 추수감사절 교통량 최대 예상…12일간 3천만명 공항 몰릴 듯
Travel & Food
4310
내년 세금 크레딧 상향, CTC 100불 올려
Tax & Salary
3582
오픈AI 직원 500명, 이사 전원 사임 촉구…\"안되면 MS 가겠다\"
Talk & Talk
3497
\'인플레 주범\' 찾기에 다시 떠오른 \'그리드플레이션\' 논쟁
Talk & Talk
3634
전기차 밸류 5년 뒤 반토막…MSRP보다 평균 49.1% 급락
Talk & Talk
4306
10번 Fwy 재개통…방화범 수배
Talk & Talk
3478
\"미국 사회 분열, 정치인보다 소셜미디어 책임이 더 크다\"
Talk & Talk
4091
오픈AI서 쫓겨난 \'챗GPT 아버지\' 올트먼, 결국 MS로 간다
Talk & Talk
5280
[구인] 내비게이션/주차/모빌리티앱 모니터링 현지 조사원 모집
Part Time Jobs
455
‘전설의 팝 아티스트’ 숨결이 깃든 집, 후배 예술가들 배움의 터전으로
Travel & Food
11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