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부채 신용등급 반영 금지… 금융 수수료 제한”
By kc2xxxx Posted: 2024-09-26 10:14:55

▶ 주지사 소비자 법안들 서명
▶총 19개 법안 패키지 시행

▶ 구독서비스 취소도 간소화
▶교육 시설 환경보호 강화

 

 

앞으로 캘리포니아에서는 개인의 의료 부채를 신용 등급에 반영하는 것이 금지된다. 온라인 구독 서비스의 경우 자동 갱신법이 개정돼 까다로웠던 구독 취소절차가 클릭 한번으로 가능해진다. 이와 함께 은행 계좌에 잔고가 부족해 거래가 거부될 때에도 은행과 신용조합이 자금 수수료를 떼가던 것도 전면 금지된다.

캘리포니아주는 24일 개빈 뉴섬 주지사가 소비자 보호를 강화하고 캘리포니아 주민들에게 재정적 부담을 주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 같은 내용의 법안 패키지에 서명했다고 25일 밝혔다.

뉴섬 주지사는 “취소하기 힘든 소액 구독료든 가족을 재정적으로 파산으로 몰아넣는 엄청난 의료 부채든 아무도 속고 싶어하지 않는다”며 “우리는 캘리포니아 주민을 위한 보호를 전반적으로 강화하고 소비자의 돈을 절약하는 데 도움을 주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날 뉴섬 주지사가 서명한 법안은 총 19개에 달한다.


뉴섬 주지사가 서명한 법안 패키지의 주요 내용은 크게 ▲신용보고서에서 의료부채 삭제 ▲구독서비스 취소 절차 간소화 ▲은행 불공정 수수료로부터 보호 등이다. 캘리포니아주는 “산업 전반에 걸쳐 투명성과 책임성에 대한 새로운 기준을 설정하는 문제”라고 이들 법안을 평가했다.

우선 의료부채 삭제 법안(법안 ‘1061’)은 의료부채를 신용 보고서에서 삭제하고, 채권 회수업체가 환자의 의료부채 정보를 신용기관에 보고하는 것을 금지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그동안 의료 부채는 수백만 캘리포니아인들의 삶을 짓누르는 악재로 작용해 왔다. 의료 부채가 신용점수를 떨어뜨려 임대주택을 구하거나 주택 담보대출을 받는 데 걸림돌로 작용했기 때문이다. 이 법안을 발의한 모니트 리몬 상원의원은 “어떤 캘리포니아 주민도 필요한 의료 서비스를 받았다는 이유로 주택, 대출, 일자리를 확보하는 데 있어 불이익을 받지 말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두번째 법안은 가입하기는 쉽지만 취소절차는 어렵고 복잡한 자동 갱신 구독서비스가 타깃이다. 이 법안은 온라인 구독서비스를 제공하는 회사가 소비자에게 가입에 사용한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구독을 취소할 수 있도록 규제하고 있다. 예를 들어 온라인으로 구독을 시작한 사람은 온라인 클릭 만으로 취소가 가능해야 한다. 지난 6월 연방거래위원회(FTC)는 이미지 편집 프로그램 ‘포토샵’으로 유명한 어도비를 상대로 민사소송을 제기한 바 있다. 가입 고객에게 구독 취소 수수료를 숨기고, 계약 해지를 너무 어럽게 만들어 소비자에게 불편을 끼쳤다는 이유였다. 이 법안(‘AB 2863’)을 발의한 빌라 시아보 의원은 “지역 사회에서 너무 많은 사람들이 경제적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이 법안은 클릭 한두번이면 원치 않는 자동 구독 갱신을 취소할 수 있도록 보장한다”고 설명했다.

불공정 수수료 보호법안은 은행 이용자의 자금이 부족해 거래가 거부됐을 경우에도 은행과 신용조합이 자금 수수료를 부과하는 것을 금지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법안은 또 신용 조합이 초과 인출 수수료에 부과할 수 있는 금액에도 한도를 설정했다. 뉴섬 주지사 측은 “각종 금융 수수료로 인해 재정적 어려움에 더욱 깊이 빠질 수 있는 저소득 캘리포니아 주민을 보호하는 게 이 법안의 목표”라고 설명했다.

뉴섬 주지사는 이밖에도 학교 등 교육시설 주위에서 공기 오염 등을 유발할 수 있는 오일과 개스 시설의 신축과 운영을 제안하는 법안에도 서명했다.

 

 

 

출처 : 미주한국일보

Title View
[공지] 취업 전에 안보면 무조건 후회하는 영상
09/03/2024
[공지] Part-time 게시판 공지사항
02/12/2021
중, ‘딥시크’ 돌풍 속… 세계는 ‘차단 vs 허용’
Talk & Talk
542
트럼프, 연방 국세청도 폐지하나
Talk & Talk
533
관세 전 ‘사재기’ … LA·롱비치항 물동량↑
Current Economy
690
아마존 매출, 월마트 추월하며 미국 1위
Talk & Talk
503
재택근무 축소… 출근비율 코로나 이후 최고
Job & Work Life
1011
신규 실업수당 청구 22만건… ‘예상 상회’
Job & Work Life
897
가계 부채 연체율 3.6%… 4년반래 최고
Current Economy
1042
[경제 트렌드] “아침 한 끼가 25달러?… 안 먹고 말지”
Current Economy
865
사우스웨스트, 창사 후 첫 대규모 감원
Job & Work Life
881
산불 피해 주택 소유주에 100% 보상
Talk & Talk
1128
트럼프 일가, 대선 승리로 ‘잭팟’
Talk & Talk
1082
“관세 맞을래, 공장 지을래”… 해외기업들 미국행
Current Economy
898
금값, 올 연말에 최소 3,100달러 간다
Current Economy
888
美 불법입국 적발 4년새 최저치로 떨어져
Talk & Talk
835
치솟은 임금, 결국 근무시간 줄였다
Job & Work Life
764
15년 만의 최악 독감… 병원들 ‘북적’
Talk & Talk
659
첫 주택 구입자 다운페이 9% 불과
Current Economy
741
사상최고 계란값… 최악의 ‘에그플레이션’
Travel & Food
768
IRS \"세금보고 \'완벽\'해야 리펀드 빨리 받는다\"
Tax & Salary
919
NYSE, 텍사스 증권거래소 신설
Current Economy
838
공무원 7만여명 퇴직신청 목표비율 5∼10%에 미달
Job & Work Life
939
연준, “물가와의 싸움 길고 멀것”
Current Economy
713
치솟는 계란 가격… 닭 사육 급증
Talk & Talk
722
공예품 업체 ‘조앤’ 매장 500개 폐쇄
Current Economy
737
국가별 비관세 장벽·환율·역외세금 등 고려
Current Economy
702
전 세계 ‘상호관세’ 무역전쟁 선전포고
Current Economy
531
종교이민 1년 5개월 ‘뒷걸음질’
Visa,Green Card,Citizenship
822
거센 강달러… 수익성 악화에 떠는 미기업
Current Economy
660
신규 실업수당 청구 21만3천건…한주 전 대비 7천건↓
Job & Work Life
1201
트럼프 관세 확대에 금 ‘고공행진’
Current Economy
615
1월 물가 3% ‘깜짝 상승’ … 금리인하 ‘희박’
Current Economy
624
“올해 연준 금리인하 1회 이하” 전망
Current Economy
649
1월 소비자물가 ‘깜짝 상승’…계란·휘발유값 상승에 3.0%↑
Current Economy
963
“너무 비싸서 못간다”…(디즈니월드) ‘1인당 1천불’
Travel & Food
768
미국내 모든 불체자들이 추방된다면… “우유·치즈도 식탁서 사라진다”
Current Economy
879